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1

여수 흥국사를 찾아서(2) 여수 흥국사를 찾아서(2) 여수의 영취산 흥국사는 조계종화엄사 말사로 고려후기 보조국사지눌이 창건하였으며 국리민복을 위해 이곳에 절을 건립하였다고 하는데 불법이 크게 일어날 도량이 될것이니 이름을 흥국사라 하여 이 절이 잘 되면 나라가 잘 되고 나라가 잘 되면 이 절도 잘될.. 2013. 10. 19.
깜빡 잊은 답신 전화 깜빡 잊은 답신 전화 한통이 깜빡 잊은 답신 전화 “응, 지금 급한 일하고 조금 있다가 내가 전화할게.” 누구나 이렇게 말하고 전화를 끊은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깜빡 잊고 전화를 안 해주면 어떻게 될까? 처음 한두 번은 괜찮다. 하지만 서너 번 계속되면 친한 사람을 잃게 된다. 답.. 2013. 10. 10.
광양 중흥사를 찾아서 광양 중흥사를 찾아서 광양 중흥사는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중흥산 자락에 있으며 신라 경문왕 때 도선국사가 중흥산성 안에 세웠다고 하며 중흥사에는 국 보인 쌍사자 석등과 보물인 3층 석탑 도지정문화재인 석조지장보살 반가상이 있었으나 쌍사자석등은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중에.. 2013. 10. 8.
구례 오산 사성암을 찾아서 구례 오산 사성암을 찾아서 구례 사성암은 기암괴석과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 위치한 암자로 드라마 토지의 촬영지 였으며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백제 성왕때에 세웠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오산에 있어 오산암 이라고 하였으나 원효,의상,도선,진각 스님이 수도한 후 4대 성인이 수.. 2013. 10. 3.
간이역 군위 화본역을 찾아서 간이역 군위 화본역을 찾아서 화본역이 네티즌이 뽑은 가장 아름다운 역으로 예능프로 1박2일이 다녀가고 더 유명세를 타고 있는 간이역으로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 으나 이제 막차를 타게 되었지만 화본역은 건물이 1936년에 완공된 오래된 간이역으로 비슷한 시기에 지어.. 2013. 9. 23.
군위 청화산 법주사를 찾아서 군위 청화산 법주사를 찾아서 군위 청화산 법주사는 경북 군위 소보 달산리 773번지 청화산 장군봉 아래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 말사 이며 법주사 사기에 의하면 법주사는 신라21대 소지왕15년에 은점조사가 창건 하였으며 조선 인조 원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 2013. 9. 21.
괴산군 삼방리 마애불을 찾아서 괴산군 삼방리 마애불을 찾아서 충북 괴산 삼방리 마애불상은 고려시대 마애불상으로 충북도 유형 문화재 제128호로 지정되었으며 커다란 바위의 서쪽 면을 다듬고 그 위에 화사한 연꽃과 함께 새겨놓은 불상으로 관전마애불좌상 이라고도 불리며 삼방리 마애여래 좌상은 높이 3.7m, 폭 4... 2013. 9. 12.
괴산 외사리 당간지주를 찾아서 괴산 외사리 당간지주를 찾아서 충북 괴산군 외사리 당간지주는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당간지주로 충북 유형문화재 제139호로 현재 전답으로 변한 절터에 남아 있으며 기단부의 자취는 정확히 알 수가 없고 지주 사이에는 원형의 간좌를 설치하여 당간을 받도록 하였.. 2013. 9. 11.
[스크랩] 숨겨진 해인사 마애불입상, 시한부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해인사 마애불(보물 제222호)이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대장경세계문화축전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13일 1200여 년 동안 스님들의 기도 장소로만 사용돼왔던 마애불 입상과 스님들의 기도길을 행사 기간 동안 대중에게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인사 마애불은 가야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옆 바위에 새겨진 불상으로 높이 7.5m, 너비 3.1m 규모다. 해인사 스님들의 기도처로 알려져 있는 이곳이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직위는 대장경축전의 성공과 불교문화 전파를 위해 축제기간인 45일 동안 축전장을 찾는 일반인들에게 해당 장소를 일시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마애불을 볼 수 있는 기간은 축전이 시작되는 오는 27일부터 11월 10일까지 매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다. 한.. 2013. 9. 6.
문경 장수황씨 종택을 찾아서 문경 장수황씨 종택을 찾아서 문경 장수 황씨 사정공파 후손들이 500년 이상 터를 잡고 살고있는 곳으로 이들은 곧 명재상 황희의 후손으로 황희정승이 사용하던 벼루,갓끈,문진도 집안에서 보존해왔으며 황희의 고조부인 장수 황씨의 중시조는 전북 장수 사람이고 황희는 개성과 한양을.. 2013. 9. 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문경내화리 삼층석탑은 문경시 산북면에서 동로 방향으로 약7km 직진하면 우측에 안내판이 보이고 탑은 좌측으로 몇 십미터 안쪽 과수원사이에 있는석탑으로 보물 제51호로 지정되었으며 이자리에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화장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약 100.. 2013. 8. 28.
문경 생달리 석불좌상을 찾아서 문경 생달리 석불좌상을 찾아서 문경 생달리에는 황장산을 배경으로 하여 약산사라는 절이 있었 다고하여 지금도 석불좌상이 있는 마을 이름이 약사정 마을 이라고 하 는데 약산사터에 지금 남아있는 것은 주 초석과 석불좌상 뿐이며 이 석불좌상은 원 래 두상이 없는 70㎝ 높이의 여래.. 2013.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