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1

[스크랩] 국립대구박물관을 찾아서(3) 국립대구박물관을 찾아서(3)   섬유복식실     섬유복식실     섬유복식실은 실, 직조, 색채, 옷이라는 4개의 키워드를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옷의 기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전시실이다. 옷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우리 옷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 2013. 5. 2.
[스크랩] 대구국립박물관을 찾아서(2) 대구국립박물관을 찾아서(2)   중세문화실   중세문화실은 대구·경북 지역의 불교문화와 유교문화를 소개하는 전시실이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출토되거나 관련이 있는 문화재와 자료를 중심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불교문화와 유교 문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 2013. 5. 2.
[스크랩] 국립대구박물관을 찾아서(1) 국립대구박물관을 찾아서(1)    국립대학박물관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대구ㆍ경북지역은 선사, 고대로부터 찬란한 문화를 꽃피워 왔다. 곳곳에는 신라와 가야, 통일신라시대의 유적과 유물 등 역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곳이다. 근세에 와서는 유학의 학문적인 연구를 통하.. 2013. 5. 2.
[스크랩] 이차돈 순교비는 누구의 소유가 될 것인가? 이차돈 순교비, 소유권은 누구? 이차돈순교비(앞면) 순교비의 뒷면 이차돈은 지증왕 7년(506년)에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길승(吉升), 할아버지는 공한(功漢), 증조할아버지는 흘해왕(訖解王)이다 법흥왕의 근신(近信)으로서 일찍부터 불교에 귀의하였으며 벼슬은 왕의 뒷바라지를 하는 내사사인(內史舍人)이었다. 이차돈은 527년 8월 5일, 22살의 젊은 나이로 육신을 버려 순교함으로써 신라땅에 찬란한 불교의 꽃을 피우게 된다. 삼국유사에는 '이차돈의 목을 베자 목이 날아가서 경주 동천동의 소금강산 정상에 떨어지고 목에서는 흰 젖이 솟아 났으며 꽃비가 내렸다'고 표현하고 있다. 신라에 처음 불교가 들어온 것은 미추왕때이며 이후 19대 눌지왕, 21대 소지왕 때도 계속 불교가 유입되었으나 정착되지 못하고 쫓겨.. 2013. 5. 2.
청도 대산사를 찾아서 청도 대산사를 찾아서 청도 화악산 월은산 대산사는 용봉사라고도 하였는데 목지국에서 남해에 표류해온 천수관음 불상 3구가 있었는데 1구는 청도 운문사에 봉안하고 1구는 간 곳을 알 수 없으며 1구는 대산사에 봉안하여 용봉사라 하였다고 하며 대산사 원통전에는 조선후기에 만들어.. 2013. 4. 29.
마애부도가 있는 청도 신둔사를 찾아서 마애부도가 있는 청도 신둔사를 찾아서 신둔사는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 화악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로 화악산은 청도 에서는 남산이라 하며 청도사람들이 즐겨 찾는 명산으로 신둔사는 화악산 기슭에 있으며 대웅전 왼쪽 요사체 뒤편 바위에는 부도모양.. 2013. 4. 25.
[스크랩] 경남 합천 죽고리삼존불 경남 합천 죽고리삼존석불(陜川 竹古里三尊石佛)       죽고리 삼존불   경상남도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산37번지, 옛 절터라고 전해지는 곳에 있는 석조삼존불로, 1998년 11월 1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8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옥두봉의 북쪽자락으로 석불은 마을 민.. 2013. 4. 25.
[스크랩] 신라의 역대왕 연대기 신라의 역대왕 신라는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국가의 하나로서 고구려·백제를 멸망시켜 삼국을 통일한 뒤 한반도의 주인공으로 군림하다가 935년 고려에 스스로 항복하였다. 국호는 503년(지증마립간 4)에 신라로 확정될 때까지 '사로'·'사라'·'서라벌' 등 여러 가지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땅, 해 뜨는 동쪽 나라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신라 왕실 계보 신라연대기 대 왕 년도 내 용 1 박혁거세 BC57-AD4 ▶기원전 오랫옛날 지금의 경주지방에 6개의 작은부락(진한6부) ▶나정이라는 우물옆에 커다란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 ▶BC 57년 6부촌장에 의해 서라벌 나라 세움 ▶즉위 21년에 수도에 금성을 쌓아. ▶서라벌 남쪽끝 다파나국 왕비가 낳은알이 아진포(영일만)에 도착 ▶아진의선에 의해 거두어.. 2013. 4. 25.
[스크랩] 첨성대와 선덕여왕릉을 잇는 연장선에 불국사와 대왕암이...... 첨성대와 선덕여왕릉을 잇는 연장선에 불국사와 대왕암이...... 신라 천년의 왕궁이었던 반월성의 북쪽 낮은 평지에 청성대가 있다 첨성대는 647년경 제27대 선덕여왕 때 세워진 천문관측시설로서 황룡사와 가의 동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첨성대의 역할에 대해서 천문관측을 수행한 천문대이다. 왕권을 상징하는 상징물이다.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제천단이다 라고 하는 여러가지 학설이 난무하는 가운데, 2009년 12월 울산 MBC는 다큐멘터리이라는 다큐멘터리 방송을 통하여, 첨성대를 기점으로 한 경주의 왕릉 및 건축물이 하늘의 별자리와 일치한다는 획기적인 내용을 방영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다. 그동안 학자들의 연구를 통한 여러 사실을 재조명하면서 경주시내 유적이 별자리를 본뜬 것이라는 놀라운 주장을 하여 흥미를 .. 2013. 4. 25.
[스크랩] 신라화랑 죽죽비와 연호사, 그리고 함벽루 신라화랑 죽죽비(竹竹碑)와 연호사(烟湖寺), 함벽루(涵碧樓)     합천 읍내의 동남쪽 황강변의 낮으막한 취적산에는 신라와 백제의 대접전지인 대야산성(大耶山城)과 신라화랑 죽죽(竹竹)의 비(碑), 신라군의 영혼을 모신 연호사(烟湖寺), 고려초의 누각 함벽루(涵碧樓)가 함께 .. 2013. 4. 25.
건망증의 상황별 증상 건망증의 상황별 증상 1. 담배 필 때 - 초기 : 담배를 거꾸로 물고 불을 붙인다. - 중기 : 담배를 거꾸로 물고 라이터를 찾는다. - 말기 : 라이터를 물고 담배를 찾는다. 2. 당구 칠 때 - 초기 : 상대의 흰 공으로 친다. - 중기 : 상대의 흰 공을 겨냥하고 친다. - 말기 : 빨간 공으로 흰 공을 친다. .. 2013. 4. 23.
건망증 환자 건망증 환자 한 건망증 남자가 살고 있었다. 부인은 남편의 건망증이 너무 심하여 같이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았다. 남자 : 제가요, 건망증이 심해서 왔는데요. 의사 : 어느 정도로 심하시나요? 남자 : 뭐가요? 2013.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