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51 [스크랩] 꽃처럼 아름다운 사리탑-불국사 광학부도? 꽃처럼 아름다운 사리탑-불국사 광학부도 보물 61호 불국사 사리탑(광학부도) 불국사는 화엄불국사라고도 한다. 여러가지 꽃들이 어울려 아름다운 꽃밭을 이루듯이 여러 중생들이 자신의 깨달음 속에서 함께 어울려 만든 아름다운 세상이 화엄불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국사에는 꽃보다 더 화려한 사리탑이 있다. 일명 광학부도라고 부르는 사리탑이다. 조각의 섬세함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 승탑과는 형태를 달리하는 특이한 사리탑이어서 보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불국사 비로전 뜰의 서쪽 외진 곳, 작은 보호각 안에 존치되어 있어 관광객들의 시선을 끌지 못한고 그냥 스쳐가는 사리탑이다, '불국사사적기(佛國寺事蹟記)'에서 말하는 '광학부도(光學浮屠)'가 곧 이 사리탑을 가리킨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사리탑이 석가여.. 2013. 8. 9.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을 찾아서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을 찾아서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계립령 아래에 있는 반가사유상은 계립령 아래 관음원이 있었다는 기록과 주변에서 발견된 기와조각들,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5층석탑 등으로 보아 주변을 관음사 옛 절터로 추정하지만 확실치 않고 바위에 양각되어 .. 2013. 8. 7. 문경 봉정리 약사여래좌상과 관세음보살입상을 찾아서 문경 봉정리 약사여래좌상과 관세음보살입상을 찾아서 경북 문경시 산양면 봉서사지에 3층 석탑과 함께 서있는 불상으로 2구의 불상은 중턱에 있는데 약사여래좌상은 큰바위면에 조각되어있고 관세음보살입상은 이곳서 동남쪽으로 10m정도 아래쪽에 위치한 작은 바위에 조각되어있으며.. 2013. 8. 4. 문경 봉서사지 삼층석탑을 찾아서 문경 봉서사지 삼층석탑을 찾아서 문경봉서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축조된 탑으로 일제 말기에 도굴꾼에 의해 도괴되어 밭가에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91년에 복원한 탑으로 탑이 위치한 자리에 봉덕 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빈터만 남아 있으며 거대한 자연 암반을 .. 2013. 8. 2. 괴산 지장리 석불좌상을 찾아서 괴산 지장리 석불좌상을 찾아서 이 불상은 괴산 지장리 철안 마을 입구 도로변 산 기슭에 있는데 화강암에 한쪽 면을 다듬고 낮은 돋을새김을 하였 으며 자연석의 원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앞면에만 부조되었고 전체적으로는 불상의 형상을 갖추었지만 세부적인 표현은 매우 서 툴고 머.. 2013. 8. 1. [스크랩] 석가탑을 무영탑이라 부르는 까닭은? 석가탑을 무영탑(無影塔)이라 부르는 까닭은? 무영탑이라 불리는 석가탑 불국사 대웅전 앞, 다보탑과 석가탑이 동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서 있다. 법화경에 의하면 석가여래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을 하는데 그 뜻을 대중이 알아듣지 못하자 칠보(七寶)의 탑이 땅에서 솟아올랐으며 그 속에서 다보여래가 나타나 석가의 설법을 찬양하며 그 참됨을 설명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석가탑은 석가여래 상주설법(常住說法)의 탑이며, 다보탑은 다보여래 상주증명(常住證明)의 탑으로서, 곧 한쪽에서 석가여래가 설법하고 한쪽에서 그 설법이 진리임을 증명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특히 석가탑은 천년을 두고 민간설화로 전해 내려온 백제 석공(石工)아사달과 그 연인 아사녀(阿斯女)의 안타까운 사랑이야기와 함께 그림자가 없는 '무영탑(無影.. 2013. 7. 30. 문경 갈평리 오층석탑을 찾아서 문경 갈평리 오층석탑을 찾아서 문경읍갈평리 갈평출장소에 있는 이탑은 갈평리가 아닌 북쪽 으로 2킬로미터 떨어진 관음리의 관음사에 있던 석탑을 일제 때 1936년 일본인이 일본으로 반출하기위하여 본래 지금의 위치에서 약 2㎞ 떨어진 관음리의 관음사지에 있었는데 1936년 당시 관음.. 2013. 7. 28. 괴산 삼방리 3층석탑을 찾아서 괴산 삼방리 3층석탑을 찾아서 충북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탑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탑말이란 마을에 있는 탑으로 주변은 경작지로 기와조각이 있는 점으로 보아 일대가 옛 절터로 추정 되는 곳으로 탑은 기단부가 잡석에 묻혀 있어 2층기단인지 단층인지는 알 수 없으나 갑석 .. 2013. 7. 27.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과 삼층석탑을 찾아서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과 삼층석탑을 찾아서 충주원평리 선조사지에는 삼층 석탑과 석불입상 1기가 나란히 서 있는데 현재 절터에는 삼층석탑.배례석. 석등.대석.간주석 등의 석물이 있으며 석불입상은 연꽃이 새겨진 대좌 위에 8각형의 갓을 쓰고 있는 거대한 석불로 360년 된 시무나.. 2013. 7. 21. 정인지 묘소를 찾아서 정인지 묘소를 찾아서 괴산불정면 지장리 석불좌상을 찾아갔다가 외령리에 있는 정인지묘소를 찾아가 보았습니다 정인지는 조선 초기의 학자요 정치가 로서 과거에 급제하여 세종 때에 집현전 직제학 부제학을 지내면서 성삼문 신숙주 최항과 함께 훈민정음을 창제하는데 공을 세웠고 .. 2013. 7. 15. 괴산 각연사를 찾아서 괴산 각연사를 찾아서 보배산과 칠보산, 덕가산이 둘러싼 분지에 자리잡은 각연사는 법흥왕 때 유일화상이 창건했고 법주사 말사로 깨달을 각자에 연못 연자를 써 각연사 라고 하는데 대웅전을 중심으로 동쪽에 비로전이 있는데 비로전의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은 신라 하대에 조성된 것.. 2013. 7. 5. [스크랩] 금관총의 주인은 이사지왕(爾斯智王)?? 금관총의 주인은 이사지왕(爾斯智王)? 금관총 충토 칼에서 신라 왕의 이름이..... 1921년 발굴한 신라시대 적석목곽분인 경주 금관총 출토 환두대도(環頭大刀)에서 확인한 '이사지왕(爾斯智王) 1921년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됐던 환두대도(環頭大刀·고리자루큰칼)에서 신라왕을 의미하는 '이사지왕(爾斯智王)'이라는 명문(銘文)이 확인됐다고 국립중앙박물관이 3일 밝혔다. 신라무덤에서 왕명(王名)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날 "'이사지왕'은 신라 금석문(金石文·쇠로 만든 종이나 돌비석) 등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신라식 표기"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이 명문은 금관총의 주인이 누군가를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물관 측은 이 명문을 "조선총독부 박물관 자료 공개 사업 일.. 2013. 7. 4.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