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0

[스크랩] 율동 선각마애불두(栗洞 線刻磨崖佛頭) 율동 선각마애불두(栗洞 線刻磨崖佛頭)       율동선각마애불두       율동(栗洞) 천창산(天倉山) 사당골(일명 방목골) 뒷산 사당골사지에는 1999년 2월에 발견된  마애열반상이 있다 몸길이 1.8m 불두길이 42㎝ 얼굴폭 25㎝ 크기의  이 마애열반상은 가로 3.56m 세로 4.5m 크기의 ㄱ자형 암벽의 오른.. 2011. 9. 14.
치산 치수를 위한 사방 기념공원을 찾아서 주민들이 이룩한 사방기념공원 1975년 4월 17일 진눈깨비가 몰아치던 날 영일군에 순시차 대구에 내려온 박정희 대통령은 흥해읍 오도마을의 사방공사 현장을 가보려 하셨는데 헬기가 뜰 수 없는 날씨인 데다 제대로 된 도로도 없는 벽지인지라 주위에서 극구 말렸으나 막무가내였다. 전용차로 포항에 .. 2011. 9. 10.
불국사 해설 하던 어느 날의 스케체 불국사 해설 하던 어느 날의 스케체 불국사 대웅전 앞에 물고기를 입에 물고 있는 용의 망설임 이라고 합니다 쌍동이 두 남매가 무언가를 열심히 그리고 있는데 아마도 다보여래를 그리려나 봅니다 조금전 대웅전에서 보았던 다보여래의 모습이 생각이 잘 나지 않는가 봅니다 쌍.. 2011. 9. 8.
진천 농다리를 찾아서 진천 농다리를 찾아서 충북 진천군 문백면 중부고속도로 변에 위치한 농다리는 고려초기에 놓여져 1천년의 신비를 지닌 국내 유일의 돌다리로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생거 진천의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자주빛 자연석을 그대로 쌓았음에도 견고하여 장마가 져도 다리위로 .. 2011. 9. 7.
구룡포의 일본전통가옥 거리를 찾아서 구룡포의 일본인 전통가옥 거리를 찾아서 구룡포에는 일본인전통가옥 홍보거리가 있는데 얼마 전 일본의 마이니치 신문에 한국의 한 작은 항구 도시에 관한 이야기가 크게 보도 됐던 곳 구룡포에 100년 전 일본인 거리가 보존되어 있다는 내용을 보고 일본인들이 많이 찾아온다고 하는데 지금은 포항.. 2011. 9. 6.
백비가 있다는 보탑사를 찾아서 사방불. 3층목탑 보탑사를 찾아서 김유신장군 탄생지와 태실을 찾았다가 백비와 사방불을 모셔 놓은 3층 목탑 형식을 갖춘 보탑사가 있다기에 찾았습니다 충북 진천군 진천읍 보련산 자락의 연꽃 골에 있으며 근래에 지어진 사찰이지만 자연 경관과 경내의 조경이 잘 어울려진 ⌜참 아름다운 사찰이.. 2011. 9. 5.
광개토태왕비를 찾아서 광개토태왕비를 찾아서 고구려라는 나라의 이름이 장수왕때 부터 고려라고 바꾸어서 멸망할 때까지 고려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만주에는 고려라는 지명이나 유적들이 많은데 이것은 왕건이 세웠던 고려가 아니라 고구려를 말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관개토태왕비를 발견 당시에는 비석만 서 있던 것을.. 2011. 7. 4.
남원 용담사를 찾아서 남원 용담사를 찾아서 용담사는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장벌산 기슭에 있으며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다는 설과 통일신라 말에 선각국사 도선이 창건 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전설이나 유물로 보아 신라 말에 창건한 사찰로 추정 됩니다 전설에 따르면 예날 이곳 용담천.. 2011. 7. 1.
[스크랩] 옆드려서 천년을... 경주 남산 열암골의 마애불상 옆드려서 천년을... 경주 남산 열암골의 마애불상 백운암 가는 길에서 본 열암곡 열암곡은 경주 남산 남단의 고위봉(해발 494m)과 봉화대봉(해발 476m), 천왕지봉(해발 433m)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리는 능선들에 의해 형성된 여러 골짜기 중의 하나이다. 백운계의 백운암으로 올라가는 길중에 가장 먼저 나오는 계곡으로 옛날에는‘열암곡(列巖谷)’으로 불리워졌으나 요즈음은 산 사이의 계곡라는 의미로 새갓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열암곡의 석조여래좌상과 열암곡마애불상이 위치한 곳은 열암곡 제3사지로 바위들이 여러 층으로 늘어서서 천연의 벽을 이루고 있는 곳이며 통일신라시대 이전부터 민간 신앙의 중심지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불교의 성행과 더불어 대규모의 불상을 조성한 곳으로 짐작된다. 마애불상과 더불어 반장.. 2011. 6. 27.
갈계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갈계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거창방면 답사를 준비하면서도 계획에도 없었던 횡재를 했습니다 양평리석조여래입상을 보고 농산리 석불입상을 찾아 가던 도로변에서 삼층석탑 한 기가 우측에 우뚝 서 있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내판을 보니'탑불'이라고 불리는 마을에서 약 200m쯤 떨어진 옛 .. 2011. 6. 23.
강남사터 석조여래입상을 찾아서 강남사터 석조여래입상을 찾아서 경남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 있는 강남사터 석불입상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322호로 높이가 3.65 미터이고, 넓이가 1.3미터이며 광배와 입불상이 한 돌로 조성된 부조의 석불입상 입니다 언제부턴가 4,5 조각으로 파괴되어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92년 향토 문화 유적 보수.. 2011. 6. 23.
[스크랩] ‘제2석굴암’ 재추진에 논란 ‘제2석굴암’ 재추진에 논란도 재점화   불국사 "문화재청·경주시와 준비중" .접근성 이유 내세워…300억원 필요 8년전에는 경관파괴 우려로 백지화     문화재청과 경북 경주 불국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주 토함산 석굴암 근처에 석굴암과 똑같은 모양과 크기의 '.. 2011.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