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0

제천 월악산 신륵사 삼층석탑을 찾아서 제천 월악산 신륵사 삼층석탑을 찾아서 충북제천 월악산 동쪽에 있는 천년고찰신륵사는 신라진평왕4년에 아도화상이 대덕사란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문무왕때 원효대사가, 고려말에는 공민왕때 무학대사가 중창과 중건을 거듭하다가 현재는 조선후기에 지어진 극락전과 보물 제1296호인 삼층석탑만.. 2011. 10. 10.
[스크랩] ??보문 부부총은 부부가 아닌 여성 두 분의 합장묘이다 보문 부부총은 부부가 아닌 여성 두 분의 합장묘이다 '보문 부부총'에서 '보문 합장묘'로 명칭 바꿔   발굴당시의 전경(보문동에서 북쪽으로 본 모습)   부부총(합장묘)은 경주분지의 동쪽 외곽인 명활산(明活山) 서쪽 구릉의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진평왕릉에서 1시 방향으로 보이.. 2011. 10. 9.
안동국제탈춤 페스티벌을 다녀와서 안동국제탈춤 페스티벌을 다녀와서 안동하면 하회탈춤을 연상하게 하는데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중요 무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되었으며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와 병산리 마을에서 별신굿을 할 때 놀았다는 탈놀이로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던 탈놀이가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벌의 모태가 .. 2011. 10. 7.
불국사 영상음악페스티발 리허설 불국사 영상 음악 페스티발 리허설 우주 창조의 소리는 명상의 소리를 통해서 들을 수 있다 침묵에서 피어 오르는 우주 창조의 소리는 모든 소리의 근원이다 우주 창조의 신비와 소멸의아름다움을 상징적으로 그려내고, 창조는 동시에 파괴이며 삶과 죽음은 하나이다(生死一如).. 2011. 10. 5.
단양 적성을 찾아서 단양 적성을 찾아서 대구에서 춘천 방면으로 이어지는 중앙고속도로는 풍기에서 길이 4600m의 죽령터널을 통해 소백산맥을 넘으면 한눈에 들어오는 단양휴게소는 남한강변 성재산 7부쯤에 자리 잡고 있으며 휴게소 뒷산에는 신라 진흥왕이 죽령 이북으로의 영토 확장을 기념해 세운 국보 제198호인 신.. 2011. 10. 4.
단양 신라적성비를 찾아서 단양 신라적성비를 찾아서 적성은 신라 진흥왕 때 단양 성재산에 축조된 산성으로 신라와 고구려의 세력관계의 변동을 알아보는 중요한 자료라고 하는데 성내에서 신라의 북진과 조처 등의 중요한 기록이 담겨진 비석이 1978년 성재산의 적성안에서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이 비.. 2011. 10. 3.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을 찾아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을 찾아서 제천시 장락동에 있는 장락동칠층모전석탑은 회흑색의 점판암으로 조성된 모전석탑으로 건립연대는 조탑 형식이나 전재가공수법으로 보아 통일 신라 말기로 추정됩니다. 6·25동란 때의 심한 피해로 도괴 직전에 있었는데, 1967년 해체 복원 하였다고 하며 탑을 받치는 .. 2011. 9. 28.
경남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을 찾아서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을 찾아서 산청도전리 마애불상군은 경남 산청 생비량면 도전리 부처덤이라는 구릉 남쪽 자연석 암벽에 새겨진 것 으로 현재 약 29구가 남아 있는데 이들은 절벽에 4층으로 줄을 지어 새겨 졌는데 1층 14구, 2층 9구, 3층 3구, 4층 3구로 배치되었고 크기는 30㎝ 내외로 대개 연화문.. 2011. 9. 25.
백비라고 하는 진천 연곡리 석비를 찾아서 진천 연곡리 석비를 찾아서 백비라고 하는 이 비석의 정식 명칭은 진천 연곡리 석비 라고 하며 고려시대의 석비로 보물 제404호이며 비면에는 아무런 글짜가 새겨져 있지 않 아서 무자비. 몰자비. 백비 라고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무자비 몰자비라고 하며 백비라는 말은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말이지만 .. 2011. 9. 23.
구형왕릉을 찾아서 금관가야 구형왕릉을 찾아서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에 위치한 전구형 왕릉은 금관가야의 마지막왕인 구형 왕의 무덤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릉의 형태는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잡석으로 방형의 단을 이루면서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 올려 7단을 마련한 돌무덤으로 상단에 타원형.. 2011. 9. 21.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을 찾아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을 찾아서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룩하는데 일등공신 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 김유신 장군 탄생지와 김유신장군 태실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태실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돌로 만든 방으로 이곳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심적 역할을 한 김유.. 2011. 9. 20.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을 찾아서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을 찾아서 충북 진천에 있는 용화사석불입상은 화강암 으로 된 불상으로 지방 유형 문화재 제138호이며 높이가 7m 넘는 거대한 돌기둥에 조각을 한 이 불상은 타원형의 얼굴에 눈이 작 으면서 웃는 표정을 하고 있어서 주민 들은 이 불상이 덕문이들 이라는 넓은 평 야의 풍요로움.. 2011.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