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월악산 신륵사 삼층석탑을 찾아서
충북제천
월악산 동쪽에
있는 천년고찰신륵사는
신라진평왕4년에 아도화상이
대덕사란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문무왕때 원효대사가, 고려말에는
공민왕때 무학대사가 중창과 중건을
거듭하다가 현재는 조선후기에 지어진
극락전과 보물 제1296호인 삼층석탑만이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신륵사 삼층
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꼭대기에 머리장식으로 노반,복발
앙화,보륜,보개 등이 있으며 머리장식부의
무게중심을 지탱하기 위한 찰주가 있습니다
통일 신라의 석탑 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는
고려 전기의 탑으로, 1981년 탑을 해체
복원할 때 기단 내부에서 흙으로 빚은
소형 탑 108개와 사리함 조각이
발견 되었다고 합니다
제천 신륵사는 옛 영화를 모두 월악산 자락에 묻고 현재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극락전과 삼층석탑만이 남아 있습니다
신륵사는 신라 진평왕 4년에 창건하고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중수하고
조선시대 무학대사와 사명선사가 중창하였다고 전하며,
현재 경내에는 삼층석탑 및 극락전과 괘불대, 산신각,
국사당, 요사등의 건물이 있습니다
입구의 건물은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천왕문을 지을려고 한 것
같으나 사천왕상을 모실 수 있는 공간만 있습니다
신륵사 삼층석탑은 보물 제1296호로 상층부 장식이
잘 남아 있는 고려 초기 석탑으로
기단은 정방형으로 탱주와 우주가 잘 표현되어 있고
3층 탑신이 엊혀져 있는 형태입니다
신륵사 삼층석탑은 1981년에 탑 전체가 기울어진 까닭으로 해체
복원하는 과정에서 3cm에서 5cm에 이르는 흙으로 빚은
소형탑 108개와 2개의 사리함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우주와 탱주를
하나씩 본떠 새겼고, 탑신에서도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우주와 탱주를 조각해 두었습니다
지붕돌은 밑면 받침이 층마다 4단이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은
경사를 약하게 하고 모서리는 치켜 올려진 상태입니다
머리장식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 등이 있으며
무게중심을 지탱하기 위한 찰주가 꽂혀 있습니다
통일신라의 석탑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는 고려 전기의 탑으로,
특히 이처럼 머리장식이 잘 남아있는 예는 드문 편이며,
신륵사 삼층석탑은 1981년 탑을 해체하여 복원할 때
기단 내부에서 흙으로 빚은 소형 탑 108개와
사리함 조각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신륵사 극락보전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건물로
정면3칸,측면3칸의 다포식 맞배지붕입니다
신라 진평왕 이후 여러 차례의 중창과 중건을 거친 건물로
조선 초에 무학화상이, 명종 때 사명대사가
중수한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내부에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시고 있다고 하는데
문이 닫혀 있어 내부를 돌아보지는 못했습니다
신륵사 극락보전 외벽과 천정에는 반야용선도를
비롯하여 산수와 화조화가 그려져있습니다
신륵사가 있는 월악산은 달이 뜨면 영봉에 걸린다 하여
월악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월형산이라고도 하며 후백제의 견훤이 궁궐을 지으려다
무산되어 와락산이라고 하였다고도 합니다
제천 신륵사 삼층석탑은 화강암으로 기단부는 1.46m의
정방형으로 탱주와 우주가 모각되어있고,
2중 기단위에 3층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된 석탑으로
기단부 하층 면석은 4매, 갑석은 3매의 석재이며,
기단부 상층 갑석도 3매의 석재이며 상면에는 2단의 탑신
괴임대를 두었는데 1단은 몰딩형이고 2단은 각형입니다
기단부의 모서리와 면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어 있으나 하층기단의
서쪽 면석에는 탱주가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 1매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옥개받침은 4단이고 상면에는 1단의 탑신 괴임대가 있고,
1층에는 2층으로 가면서 비례가 확연히 줄어들고 있으며
옥개석의 낙수면은 전각에서 약간 반전되어 있습니다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찰주 등이
완전한 상태로 잘 남아있습니다.
1981년 4월 해체복원시 기단 내부에서 높이 3.5~5㎝크기의 토탑 108개와 사리함
두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사리함은 금동편과 동편이 각각 하나씩으로서
이 유물들은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 전시되고 있습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속사지 동,서 3층석탑을 찾아서 (0) | 2011.10.14 |
---|---|
지리산 내원사를 찾아서 (0) | 2011.10.12 |
단양 적성을 찾아서 (0) | 2011.10.04 |
단양 신라적성비를 찾아서 (0) | 2011.10.03 |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을 찾아서 (0) | 2011.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