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50

상주의 전 사벌왕릉을 찾아서 전 사벌왕릉을 찾아서 사벌왕릉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25호로 경북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산44-1에 있으며 소유자는 상산박씨 문중으로 관리도 문중에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벌국은 경북 상주지방에 위치 하였던 삼한 소국 중의 하나로 일명 사량벌국 이라고도하는데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 나라는 본.. 2011. 4. 2.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상주 화달리 삼층 석탑 사벌국 왕릉 이라고 전해지는 왕릉의 서쪽에 있는 삼층 석탑 으로 1단의 기단 위에 3 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며 이 탑은 9 세기 통일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높이가 6.24m 이고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었는데, 옥개석은 넓고 추녀 끝은 수평이며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 2011. 3. 30.
상주 남장사 석장승을 찾아서 상주 남장사 석장승 상주시 남장사 입구의 길목 산 언덕빼기에 홀로 서 있는 이 석장승은 지방문화재 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되었으며 처음부터 큰 바위를 다듬어서 장승을 만든 것이 아니고 자연적인 형태의 바위를 골라 소박하게 손으로 다듬었다고하며 이 장승은 남장사 에서 약 500m 떨어진 곳에 .. 2011. 3. 29.
[스크랩] 미소가 아름다운 배리삼존불 석조삼존불입상(배리삼존석불입상)     삼국시대의 석조삼존불입상이다. 보물63호이며 7세기초기에 조성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주변에 그냥 넘어져 있던 것을 조선시대인 1923년에 일으켜 세우고 토담으로 담장을 둘렀다. 그동안 보호각 없이 노천에 방치되어 있다가 보호각 건립을 위하여 1987년.. 2011. 3. 26.
[스크랩] 2경주 남산 삼릉계4-새 모습으로 태어난 6사지 석조여래좌상 새 모습으로 태어난 제6사지 석조여래좌상 삼릉계 제6사지에 있는 석조여래좌상 삼릉계 제5사지(선각마애여래좌상절터) 제5사지는 제3사지에서 서북쪽으로 260m 정도 바위 능선을 타고 올라가서 높이 약 10m의 바위면에 서쪽을 향해 앉아 있는 선각마애여래좌상이 있는 곳이다. 그러나 3사지 선각마애불에서 상선암 가는 길로 개울을 따라 따라 오르는 것이 편하고 대부분의 등산객이 이 길로 오른다. 그렇게 되면 제6사지 석조여래좌상을 먼저 보고 좌측으로 약 100m 쯤에 있는 제5사지 선각마애여래좌상을 보게 된다 불상 아래쪽에 분묘의 축대로 이용되는 곳에 기와편이 흩어져 있어 불상과 관련되는 사지로 추정되고 있을 뿐, 현재로는 건물지의 축대 등이 정확하게 드러나 있는 것은 없다. 제5사지 선각마애여래좌상 지방유형문.. 2011. 3. 26.
[스크랩] ?경주남산 삼릉계5-삼릉계 제9사지 상선암절터와 주변 삼릉계 제9사지 상선암절터와 주변 제6사지에서 등산로를 따라 약 380m 가파른 길을 오르면 상선암(上禪庵)이라는 조그만 암자가 있다. 이 곳이 삼릉계 제9사지이다. 제7사지와 제8사지는 남아있는 문화재가 없고 절터의 흔적만 남아 있으므로, 대개 6사지 석조여래좌상을 보고는 바로 제9사지 상선암으로 오른다 이곳에는 근대에 지어진 법당과 요사채가 있고, 과거에 있었던 건물지들 위에 현존 건물이 축조되어 흔적을 알 수 없으나, 길가에는 장대석 1매가 있고 주변에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와편들이 수습된다. 임필대(任必大)가 기록한 유동도록(遊東都錄)에는 ‘상선암에 올라서 보면 앞쪽에는 하선암이 수석사이에 있다.’고 하였다. 현재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아래쪽 제6사지가 하선암(下禪庵)일 가.. 2011. 3. 26.
상주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 입상을 찾아서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 입상 상주 목가리 관세음보살 입상은 경북 문화재자료 제437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으나 머리에 쓴 보관은 다른 부처에서 찾아보지 못한 특이한 양식 이며 중앙에 부처 1구를 조각한 것 등 특이한 점이 있으며 불상의 양식과 불상 주변에서 확인되는 자기.. 2011. 3. 23.
상주 용화사를 찾아서 상주 용화사를 찾아서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용화사는 누가, 언제 초창하였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으나 전설에 의하면 이곳이 본래 신라 문무왕 때 의상조사가 처음 창건한 상안사의 유지라고 전해오고 있으며 조선 후기에 편찬된 함창읍지에 이 절을 가리켜 사창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 2011. 3. 23.
상주 남장사를 찾아서 상주 남장사를 찾아서 삼백의 고장 상주는 누에 고치, 곳감, 쌀로 유명한 고장으로 말 끝에 그래여...안그래여 라고 여 자를 붙이는 언어적 특성이 있으며 예부터 인심이 좋기로 이름난 곳이라 종종 가는 곳인데도 남장사는 처음 답사하는 곳이라 볼거리도 많았습니다 보물 제922호인 남장사 보광전 목.. 2011. 3. 22.
충북 괴산 원풍리 마애불상을 찾아서 원풍리 마애불상을 찾아서 국가지정 보물 97호인 충북 괴산군 원풍리 마애불상군은 각기 다른 형상의 불상이 나란히 새겨져 이체불로 불리는 마애불상군은 깍아 지른 듯한 30m 높이의 암벽 중앙 부위에 가로 6m, 세로 5.5m 크기의 사각실 안에 2기의 좌불상이 암각 됐으며 고려 중기인 12세기에 축조된 것.. 2011. 3. 18.
양지 스님의 석장사지를 찾아서 석장사지를 찾아서 석장사지는 경주시 석장동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서쪽으로 산 기슭에 있는데 옛부터 절골이라 하던 곳입니다 석장사는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에 양지스님은 이 절에 제가 있을 때면 지팡이 끝에 시주할 포대를 걸어 두기만 하면 지팡이가 저절로 날아 다니며 시주를 받아왔다고 .. 2011. 3. 17.
경주 서남산 삼릉 의 효자비를 찾아서 배반동 효자비를 찾아서 삼릉에서 남쪽으로 삿갓골을 건너면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다 후백제견훤에게 죽임을 당한 신라 제55대 경애왕릉이 있고 다시 남쪽으로 작은 개울을 건너면 경주남산 입곡 석불두의 아름다운 자태가 보는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곳이 있어 이곳을 자주 찾게 되는데 이 .. 2011.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