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 입상
상주 목가리
관세음보살 입상은
경북 문화재자료 제437호로
지정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으나 머리에 쓴 보관은 다른
부처에서 찾아보지 못한 특이한 양식
이며 중앙에 부처 1구를 조각한 것 등
특이한 점이 있으며 불상의 양식과 불상
주변에서 확인되는 자기조각과 기와조각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고려 전기의 관세음
보살상은 대부분 협시불이거나 좌불
이지만 이 불상은 단독불이고 입상
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수 많은 문화유산들을 찾아서 답사를
다니다 보면 초행길이라도 네비에서 좋은 길 빠른 길을
쉽게도 찾아갈 수가 있지만 주소지가 산 몇 번지라고
되어 있는 곳은 찾아가는데는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찾아간 상주 목가리 석조관음보살입상은 목가리 산 62 번지
만 알 고 찾아갔더니 교회가 있는 마을 입구였습니다
뒷산을 헤메다 찾을 길이 없어서 마을 어른에게 물었더니
내가 그쪽으로 가는 길이라면서 따라 오라기에 그 분이
타고 가는 오트바이를 따라 이리저리 꼬부랑 길을 곡예를
하듯 달려서 산골짝 막다른 지점 과수원에 도착하더니
이 분도 아..... 라고 하면서 한참을 두리번 거리다가 산기슭 농막을
가리키면서 저 곳이란다, 고마운 마음으로 인사를 하면서
어른 농장은 어디냐고 물었더니 우리를 안내해 주기 위해서
여기까지 온 것이라는 말에 미안스럽기도 하고 무어라
감사의 인사를 드려야 할 지 몰라 이렇게 불로그
머릿글로 한 번 감사의 글을 올려 봅니다
세상에는 좋은 사람이 더 많습니다
경북 상주 목가리 석조 관세음보살 입상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고 어색합니다
머리에 쓴 보관은 다른 부처에서 찾아보지 못한 양식이며
중앙에 부처 1구를 조각한 특이한 불상입니다
불상의 양식과 불상 주변에서 확인되는 자기편과 기와편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고려 전기의 관세음보살상은 대부분 협시불이거나
좌불이지만 이 불상은 단독불이고
입상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불상의 전체 높이는 244cm 이며 몸 둘레는 215cm 입니다만
아무리 보아도 머리에 비해서 몸체의
비례가 어울리지 않습니다
상산지 《고적조》에는 " 송현 길 가까이에 있으며
3간 기와집 가운데 큰 석불 한 구가 안치되어 있고,
그 옆에는 큰 샘물이 바위 구멍 사이로 용출하는데
그 사방과 밑은 마치 함과 같이 다듬어져 있으며
아무리 심한 가뭄에도 줄지 않고 겨울에는 더운물,
여름에는 찬물이 솟아 샘 아래로 흘러
이 곳 10 여부락의 논에 물을 공급하여 농사를 지으므로
예부터 대정원이라 일컬었다" 라는 기록으로 보아
과거길로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자리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불상이 있던 곳 인근은, 상주목 관내 23개소
원(院)의 하나인 송원(松院)이 있었고
속칭 원터라고 부르던 곳이며 이 불상은 마을 주민들이
미륵계를 조직하여 1년에 한 번씩 제를 올려
공양해 왔다고 합니다
이 곳은 조선시대 상주목 송원이 있었던 자리인데
지금의 행정구역은 상주군 사벌면 목가리 원터라고
부르고 있는 곳입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 앞에 있는 불단에는
인적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외딴 이곳이지만
백설기와 라이타와 향까지 준비하여
예를 갖춘 것 같습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이 세워져 있는 바닥 면에는
좌대가 있는 것 같은데 그 위에 시멘트를 해서
튼튼하게 세워둔 것 같습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의 얼굴 옆모습입니다만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 밑으로 어깨 위로 늘어진
귀의 모습이 파괴되었습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의 바로 곁에 있는 석재 입니다만
쌓였던 낙엽들을 긁어내니 탑재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서 이 부근에 있던 답재인 것 같습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의 뒷 모습입니다만
어디 모난 곳 하나 없이 메끄럽고
부드러운 불상입니다
고려 전기의 관세음보살상은 대부분 협시불이거나
좌불이지만 이 불상은 단독불로서 입상이라는
특징이 있으며 상태가 양호한 편입니다.
머리에 쓴 보관에는 중앙에 부처님이
돋을새김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목가리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은 아직까지도 마을 주민들이
미륵계를 조직하여 1년에 한번씩 제를 올려
공양을 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0) | 2011.03.30 |
---|---|
상주 남장사 석장승을 찾아서 (0) | 2011.03.29 |
상주 용화사를 찾아서 (0) | 2011.03.23 |
상주 남장사를 찾아서 (0) | 2011.03.22 |
충북 괴산 원풍리 마애불상을 찾아서 (0) | 2011.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