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50 신라 땅의 고란초를 찾아서 신라 땅의 고란초를 찾아서 고란초를 처음으로 보게 된 것이 60년대 후반 인 것 같은데 삼천궁녀가 꽃잎같이 떨어져 죽었 다는 이야기를 듣고 호기심이 발동하여 부여 낙화암을 찾아 고란사에 들렸다가 절벽 위로 보일 듯 말 듯 나풀거리는 고란초의 잎 새 하나를 발견하고 슬픈 전설을 .. 2012. 8. 11. 상주 천주산 북장사를 찾아서 상주 천주산 북장사를 찾아서 천주산북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말사로 833년에 진감국사가 창건한 고찰이며 임진 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24년 이곳에 온 중국인 승려들이 중건했다고 하는데 1650년 화재로 소실되자 서묵과 충운스님이 중창했으며 그 후 여러 승려들.. 2012. 7. 29.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상을 찾아서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상을 찾아서 상주신봉리 석조 보살 입상은 화서면 신봉리에 있으며 1985년 8월 5일 지방문화재 문화재자료 제126호로 지정 보호 되고 있는 석조보살입상으로 신봉리 국도변에 서 있는 높이 230㎝의 보살상 으로 넓적한 1 매의 화강암에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머리에는 3.. 2012. 7. 25. 상주 금란정과 장각폭포를 찾아서 상주 금란정과 장각폭포를 찾아서 금란정은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장각폭포 위에 세워져 있는 정자로 폭포위의 기암절벽 위에 있는 금란정에 올라 해 묵은 소나무 가지들이 출렁거리는 바람결 따라 쉼없이 들려오는 장각폭포 의 낙수소리는 삼복더위도 두렵지 않을 정 도로 마음까지 시.. 2012. 7. 24. 진짜 부자 진짜 부자 조선시대 숙종 임금이 어느 날 야행을 나갔다가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동네를 지나게 되었다. 다 쓰러져 가는 집들을 보며 혀를 차고 있는데 어느 움막에서 웃음소리가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것이 아닌가. 기와집이 즐비한 부자 동네에서도 듣지 못했던 웃음소리에 숙종은 어리둥절했다. 숙종은 그 까닭을 알아보기 위해 움막에 들어가 주인에게 물 한 사발을 청했다. 그 사이 문틈으로 방안을 살펴보니 수염이 허연 할아버지는 새끼를 꼬고 올망졸망한 어린 아이들은 짚을 고르고 있었다. 할머니는 빨래를 밟고 부인은 옷을 깁고 있었다. 그런데 모두들 얼굴이 어찌나 밝고 맑은지 도무지 근심 이라곤 찾아볼 수 없었다. 숙종은 주인에게 물었다. "형편이 어려워 보이는데 무슨 좋은 일이라도 있소? 밖에서 들으니 이곳에서.. 2012. 7. 23.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을 찾아서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을 찾아서 상오리 칠층 석탑은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장각골에 위치하고 있으며 천황봉 아래 있는 이탑은 이곳 지명이 장각골 이라고 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탑을 중심으로 장각사라는 큰 절이 있었다고 전하나 증거가 될 만한 기록이나 유물이 없어 속단할 수는 .. 2012. 7. 23. 상주 공검지를 찾아서, 상주 공검지를 찾아서, 공검지는 경북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저수지로 공갈 못 이라고도 하는데 고려 명종25년(1195)에 상주사록 최정분이 예로부터 있었던 제방을 그대로 수축했다고 하며 제방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860보와 800보 이며 저수지의 둘레는 약 5km로 제천 의림지, 밀양 .. 2012. 7. 19. 어느 노인의 유언장 어느 노인의 유언장 아내를 잃고 혼자 살아가는 노인이 있었다. 젊었을 때에는 힘써 일하였지만 이제는 자기 몸조차 가누기가 힘든 노인이었다. 그런데도 장성한 두 아들은 아버지를 돌보지 않았다. 어느 날 노인은 목수를 찾아가 나무 궤짝 하나를 주문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집에 가져와 그 안에 유리 조각을 가득 채우고 튼튼한 자물쇠를 채웠다. 그 후 아들들에게는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 아버지의 침상 밑에 못 보던 궤짝 하나가 놓여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들들이 그것이 무어냐고 물으면 노인은 별게 아니니 신경 쓰지 말라고 말할 뿐이었다. 궁금해진 아들들은 아버지가 없는틈을 타서 그것을 조사해보려 하였지만 자물쇠로 잠겨져 있어서 안에무엇이 들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궁금한 것은 그 안에서 금속들이 부딪치는 것 같.. 2012. 7. 16. 경주 양남의 주상절리를 찾아서 경주 양남의 주상절리를 찾아서 용암이 흐르다가 바다와 만나면서 굳을때 육각기둥모양으로 굳어져 생긴 지형을 주상절리라고 하는데 주상 절리를 보기 위해서 제주도를 찾은적도 있었는데 주상절리는 제주도.서귀포.울릉도 한탄강.무등산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경주 위덕대.. 2012. 7. 15. 여주 하리.창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여주 하리.창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여주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영월공원 영월루앞에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 석탑과 보물 제 92호인 여주 하리 삼층 석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보물 제 92호인 하리 삼층석탑은 원래 하리 지역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3층 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으로 1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모습이고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원래는 창리 과수원 안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인데 2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형태로 느낌이 독특하며 건립 연대는 기단부와 탑신부의 짜임새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되는 탑 2기가 영월공원입구에 쌍탑처럼 나란히 서 있는 곳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여주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영월공원 영월.. 2012. 7. 14. 여주의 영월루를 찾아서 여주의 영월루를 찾아서 여주읍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영월공원의 정상에 있는 누각으로 원래 여주 군청의 정문이었다고 하는데 1925년 경 신헌수 군수가 현 위치에 누각으로 다시 세웠다고 하는데 영월루 입구에는 비석거리가 있고 창리 삼층석탑과 하리 삼층석탑이 나란하게 서 있으며.. 2012. 7. 13. 여주 신륵사를 다시 찾아서 여주 신륵사를 다시 찾아서 여주 신륵사는 봉미산 남쪽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 하였다고 하며 앞으로는 여강 이라는 맑고 푸른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고 있는데 고려 고종 때 건너 마을에 사나운 용이 나타나 행패를 부려서 피해가 극심하였는데 인당대사가 용을 잡.. 2012. 7. 12.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