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하리.창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여주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영월공원 영월루앞에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
석탑과 보물 제 92호인 여주 하리
삼층 석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보물
제 92호인 하리 삼층석탑은 원래 하리
지역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3층 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으로
1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모습이고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원래는
창리 과수원 안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인데 2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형태로 느낌이 독특하며
건립 연대는 기단부와 탑신부의 짜임새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되는 탑 2기가
영월공원입구에 쌍탑처럼 나란히 서
있는 곳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여주에서 조금 떨어져 있는 영월공원 영월루앞에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과
보물 제 92호인 여주 하리 삼층 석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보물 제 92호인
하리 삼층석탑은 원래 하리지역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3층 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이라고 합니다
보물 제 92호인 하리 삼층석탑은 1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모습이고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원래는 창리 과수원 안의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이라고 합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형태로
느낌이 독특하며 건립 연대는 기단부와 탑신부의 짜임새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되는 탑 2기가 쌍탑처럼 나란히 서 있습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본래 여주읍 내 과수원의 옛 절터에
있었던 것을 1958년 남한강변에 위치한 영월루 아래의 공원 중턱으로
옮겨져 여주 하리 삼층석탑과 나란히 세운 것입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높이가 2.46m로 사각형인 2층 기단 위에
3층 몸돌을 올렸으며 하층기단의 각 면에 안상이 새겨져 있고,
갑석 위에는 연꽃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창리 삼층석탑의 탑신부는 기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1층 몸돌만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고 나머지는 지붕돌과 탑 몸돌이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지붕돌의 아래쪽에는
각각 3단의 받침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 부분에서야 반전되었으나 대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입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1층 탑 몸돌 윗면의, 사리를 모셔두는
사리 공에서 동제여래입상이 발견되었습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탑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아래 기단의 4면에는 안상이 2개씩
새겨져 있는데, 움푹한 무늬의 바닥선이 꽃 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당시의 조각기법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창리 삼층석탑은 1층의 몸돌만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고 이후 지붕돌부터는 윗 층의
몸돌과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모자 형태의 돌 3개를 얹어놓은 듯합니다.
창리 삼층석탑은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3단이며 추녀는 매우 두껍고
각 부분의 재료가 두툼하여 전체적으로 높아 보이며,
고려시대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창리 삼층석탑은조각수법도 엉성하고 몸돌과 지붕돌을 각 하나의 돌로
쌓는 등 간략한 모습들을 보이고 있어 고려 중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집니다.
위 탑은 창리 과수원 안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11월 이 곳 영월루
아래로 옮겨왔습니다. 그래서 창리 삼층석탑이라 부릅니다.
창리 삼층석탑은 방형의 지대석과 굄대석 위에 이중기단을 마련하고
3층의 탑신을 안치했습니다.
하층기단의 면석과 갑석에는 안상과 복련을 혼용하여 새겼으며, 상층기단은
갑석의 부연이 경사를 이루어 특이한 점 등 전체적인 짜임으로 보아
고려시대 탑으로 추정됩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의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 한 돌씩으로
마련되었고, 지붕돌 층급받침은 3단씩으로 구성되었으며 1층 몸돌 윗면에
얕은 사리공이 있으나 사리장치는 없어졌습니다.
하대석 밑에는 작은 동제여래좌상이 발견되었다는데, 지금 어디에
보관되어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보물 제 91호인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방형의 지대석과 괴임 대석 위에
이중기단을 마련하고, 3층의 탑신을 받고 있는 일반형 석탑입니다.
여주 영월공원의 영월루 아랫쪽에 있는 이 탑은 보는 방향에서 좌측으로
답사자가 서 있는 곳에 있는 탑이 여주 창리 삼층석탑이고
우측으로 안내판이 보아는 쪽이 하리 삼층석탑입니다
보물 제92호인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1957년 하리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영월루
아래의 공원으로 옮겨 세운 것으로서 지금은 여주 창리 3층석탑과
쌍탑 처럼 나란하게 세워져 있습니다.
보물 제92호로 지정되어 있는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여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방형탑 형식을 하고 있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의 하층기단 갑석의 윗면에는 경사가 현저하며 중앙에는 상층
기단을 받기 위한 호형과 각형의 2단 굄이 있으며 상층기단은 4매의 돌로 구성
되었는데 두 면에 모각된 우주가 다른 두 면의 측면에까지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평판석을 끼워 넣었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의 갑석 밑에는 형식적인 부연이 있고, 윗면에는 높직한 2단
굄이 조각되어 있으며 탑신부의 옥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고 각 층의 옥신에는 우주가 얕게 모각되어 있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옥개석의 층급받침이 모두 4단이며 윗면에는 옥신을 받기 위한
굄이 있고, 추녀 끝은 약간 반전되어 있으며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탑을 옮길 때 특이한 사리공이 발견되었는데 일반 석탑의
사리공과는 달리 1층 옥신 윗면의 얕은 층단 위에 돌기가 있고, 그 위에
지름이 각각 3㎝, 1.5㎝인 둥근 구멍이 2개 있다고 합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이 위에 얹히는 옥개석의 아랫면에 홈이 파여 있어 사리공
돌기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데 내용물이 발견되지 않아 둥근 구멍의
용도에 대해 알 수 없지만 특이한 예로서 주목된다고 합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원래는 하리 지역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삼층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으로,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얹은 모습입니다.
기단은 4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그 윗돌 중앙에
1층 몸돌을 괴기 위한 2단의 테두리 조각을 둘렀습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의 각 면
모서리마다 얕은 기둥 형태의 조각이 나타나 있습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4단으로,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쪽 귀에서
위로 약하게 솟아 있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몸돌 윗면의 중앙에 높이 3㎝의 얇은 띠가 둘러져 있고
그 안으로 2개의 구멍이 파여 있는데, 이와 닿게 되는 지붕돌의
밑면에도 이를 배려한 듯 홈이 깊게 파여져 있습니다.
여주 하리 삼층석탑은 갑석 위에 탑신을 받고 있는데,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하고 지붕돌 층급받침은 4단씩 두었습니다.
영월루에서 계단을 내려오면서 사잇 길로 보이는 여주하리 삼층석탑과
창리 삼층석탑이 보이기에 담아 보았습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상을 찾아서 (0) | 2012.07.25 |
---|---|
상주 상오리 칠층석탑을 찾아서 (0) | 2012.07.23 |
여주 신륵사를 다시 찾아서 (0) | 2012.07.12 |
고달사지를 다시 찾아서 (0) | 2012.07.08 |
완주 종남산 송광사를 찾아서 (0) | 2012.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