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장춘사를 찾아서
경남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의
장춘사는 신라 헌덕왕
7년에 무염국사가 신라를
침략하던 왜적을 불력으로
물리치자 왕이 이에 대한 보답
으로 세운 절이라고 하는데 마을에서
계곡을 따라 좁은 길을 1.5㎞정도 올라
가면 있으며 일주문은 다른 사찰에서 볼
수 없는 가정집 대문처럼 제작되었으며
무릉산 장춘사란 현판이 걸린 일주문을
들어서면 요사채와 대웅전 앞마당에
장춘사 5층 석탑이 있습니다
장춘사는 신라 흥덕왕 7년(832)에 창건됐다고 하는데
남해안에 창궐하던 왜구를 무염국사가 신통력으로
물리치자, 임금이 보답으로 내린 절
이라고 전해오고 있는 사찰입니다
장춘사 대웅전은 1979년에 신축한 건물로 팔작와가로
정면 3칸, 측면 2칸입니다.
무릉산 장춘사라는 현판이 달린 것으로 보아 일주문인가?
대문에 걸려있는 상으로 보아서는 천왕문 같기도
합니다만 이색적인 절문입니다
장춘사에 들어서면 대웅전 보다 먼저 눈에 바로 뛰는 것이 장춘사 오층 석탑입니다. 이 석탑은 대웅전 앞에 지금은 4층으로 복원되어 있으나 원래는 5층이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 장춘사 오층석탑은 다른 곳에서 옮겨와서 장춘사 대웅전 앞에 세웠다고 하지만 원 탑지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원상은 2중 기단위에 조성된 5층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기단부와 탑 신부는 다소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탑입니다. 기단부는 하층기단의 일부가 매몰되었으며 별석으로 구성된 하대갑석의 뒷면에는 2단의 중석받침 위에 상층기단이 올려져 있는 형식인데 상대갑석에는 부연과 옥신 받침이 없습니다. 장춘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7년(832)에 무량국사가 세운 절로 대웅전은 1979년에 새로 지은 건물이라고 합니다. 역사적 추증과 연대를 알 수 없는 5층 석탑은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974년 2월 16일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고 합니다. 장춘사 대웅전은 1979년에 신축한 건물로 팔작와가로 정면 3칸, 측면 2칸 건물입니다. 장춘사는 신라 흥덕왕 7년(832)에 창건됐다고 하는데 남해안에 창궐하던 왜구를 무염국사가 신통력으로 물리치자, 임금이 보답으로 내린 절이라고 합니다 안쪽에는 수기삼존불좌상을 모시고 있으며, 지장탱화·신중탱화도 함께 모시고 있습니다.
대웅전 뒤에는 맞배지붕의 정면1칸, 측면1칸의 약사전이 있는데 이곳에 안치된 불상이 지정문화재인 약사여래좌상이 있습니다. 약사여래좌상은 높이가 94㎝, 흉위가 40㎝의 작은 불상으로서 광배와 함께 조성하였는데 1978년 왼쪽 어깨부분에 오른편으로 금이 나 있어 개금을 하여 불상과 광배의 조각수법을 전혀 알 길이 없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화적 가치와 계속적인 연구를 위해 1983년 7월 20일 문화재자료 제16호로 지정 되어 보호되고 있다고 합니니다 장춘사 석조여래좌상은 왼손에 약그릇을 들고, 오른쪽은 손가락 끝이 땅을 향하게 하고 있는 전형적인 석조약사불상으로 도금 처리하였다고 합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뚜렷합니다. 엷은 미소를 띠고 있는 타원형의 얼굴은 이목구비가 선명하여 박력이 있는 모습입니다. 옷은 왼쪽 어깨와 팔을 감싸 흐르고 있는데,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처리되어 양감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물방울 모양의 광배는 원형의 머리광배와 타원형의 몸광배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머리광배에는 도식화된 연꽃 무늬가 새겨져 있고, 가장자리는 불꽃무늬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장춘사 대웅전 뒷편에 있는 산신각인데 산신각은 신령스런 산신을 모시는 곳으로 산령각이라고도 합니다 산신각은 가람 배치상으로 볼 때 주불을 모셔 놓은 곳에서 멀리 떨어진 산 가까이에 조영을 하고 있습니다 석재에는 연화문이 선명하게 조각이 되어 있는데 수련을 키운것 같은 흔적이 보입니다 예부터 장춘사에는 불노장생한다는 약수가 있다고 하는데 찾을 길이 없어서 보살님께 물어 보았더니 이 별각 안에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 약수각의 문을 조용히 열고 들어갔더니 깨끗한 용천수가 석천에 가득한데 물 맛이 천하에 일품이었습니다 조사전이 보입니다만 조사전은 조사스님, 사찰의 창건주, 고승 대덕의 영정을 모시는 전각으로 국사전, 국사당, 영각, 조사각 이라고도 합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 주리사지 사자석탑을 찾아서 (0) | 2011.04.23 |
---|---|
용연사 적멸보궁을 찾아서 (0) | 2011.04.14 |
함안 대산리 석불을 찾아서 (0) | 2011.04.08 |
대구 옥포의 용연사를 찾아서 (0) | 2011.04.08 |
방어산 마애불상을 찾아서 (0) | 2011.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