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대산리 석불을 찾아서
대사라고
전해지는 이 사지는
함안 대산리에 있으며
모두 4구의 불상이 남아 있어
하나의 석불군을 이루고 있는데
가장 완전한 상은 2구의 보살입상
으로 보살 입상은 손 모양이 조금
다르고 보살입상의 크기가 조금 다를
뿐 형식이나 양식이 거의 같아서 좌우
협시로 조성 되었을 것 이라고 합니다
두 보살 입상 사이의 약간 뒤에 놓인
머리가 없는 좌불상은 광배의 석질과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두 보살 입상의
좌측에 있는 머리가 없는 입불상은
비록 온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혼이 살아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대사골이라고 불리는 대산리 마을 앞 절터에는
모두 4구의 불상이 남아 있어 하나의
석불군을 이루고 있습니다
머리가 없고 파손이 심한 불좌상을 중심으로 2구의
보살상이 서 있는데 처음부터 삼존불
이었던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두 보살상은 손 모양만 다를 뿐 거의 똑같은 모습으로
머리에는 두건과 같은 관을 썼으며
보살상의 긴 얼굴에는 가는 눈, 납작한 코, 작고 두툼한
입술 등이 잘 표현 되어 있습니다
어깨는 넓지만 두꺼운 법의를 입고 있어 신체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은 채 밋밋하게 처리되었습니다.
왼쪽 어깨의 매듭장식이나 두 다리의 무릎 위에 표현된
동심 타원형의 도식화 된 옷주름 표현도
매우 특이한 형식이라고 합니다
특히 법의는 양쪽으로 옷깃을 여미고 난 후 허리에서
한 번 끈으로 묶여 있는데 이는 다른 불상에서는
볼 수 없는 착의 형식이라고 합니다
대좌는 상대와 하대로 구성되었는데 상대는 원형으로
단판 연화무늬가 3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대는 팔각형으로 복판 연화무늬가 장식되었으며
그 아래 각 면에는 안상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보살상은 한 손에 정병을 들고 다른 한 손은
배 부분에 놓으면서 손등을 보이고 있습니다.
왼쪽 보살상은 두 손을 가슴과 배 앞에 각각 두고
역시 손등을 밖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대좌는 상대·하대로 나누어지는 2단으로
되어 있으며 연꽃이 새겨져 있습니다.
그 아래 8각의 단에는 각 면마다 귀꽃을 표현해 놓아
통일신라 초기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불좌상은 신체부분은 물론 대좌와 광배 부분이 심하게
파손되어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알 수 없지만
결가부좌를 취하고 있으며 좁은 어깨와 밋밋하게 처리된
가슴 위로 우견편단의 법의를 걸치고 있습니다.
두 손은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왼손에다 오른손을 포개어
배꼽 부근에 놓고 각각 둘째 손가락을 구부려서
그 끝이 엄지손가락과 맞대고 있는 아미타
상품상생인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불상 뒤에 있는 광배 파편은 불상과 같은 석재이며
양식도 유사하여 이 불상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이 석불상군은 무표정한 얼굴, 전체적으로 딱딱하고
경직된 자세, 특이한 법의 및 형식화된 동심타원형의
옷주름 표현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불상의 좌우 협시보살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2구의 보살입상은 손모양만 다를 뿐
조각수법이 거의 비슷합니다
머리에는 두건 같은 높은 관을 쓰고 있으며 우리나라 고유의
한복같은 옷을 입고 있는데 어깨의 매듭과 양 무릎에서
시작된 타원형의 옷주름은 불상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고려시대 지방화 된 불상양식에서
보여 지는 석조보살상들의 특징이라고 합니다
옆에 서 있는 머리가 없는 입불상은 비록 머리가 없는 온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세련된 멋이 풍긴다고 합니다
한절이라고 하는 대산사지에 흩어져 있던
석재들인 것 같습니다
파손이 심한 머리없는 좌불상은 광배의 석질과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불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62년 1월 21일
보물 제71호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연사 적멸보궁을 찾아서 (0) | 2011.04.14 |
---|---|
함안 장춘사를 찾아서 (0) | 2011.04.13 |
대구 옥포의 용연사를 찾아서 (0) | 2011.04.08 |
방어산 마애불상을 찾아서 (0) | 2011.04.07 |
상주 박물관을 찾아서 (0) | 2011.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