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을 찾아서
거창읍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은 보물
제377호로 지정되어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여래입상과
주변의 초석과 기단이 있으며 발견된
기와조각과 도기 조각으로 미루어 보아
금양사 혹은 노혜사 라고 전해지는 절터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불상은 동쪽으로 약간
틀어진 남향좌로 불상 앞에 단엽앙련의 석물이
있는데 보수공사 당시 수습한 것이라고 합니다
여래상의 형식은 대좌 불신 보개 세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고, 대좌는 연화문 원형석 1매만 놓여 있
으며 약간 넓은 연화문 복련이 양각 되어있습니다
불신은 원각불 이며 상호는 둥글고 자비상 이며
머리는 나발이고 육계는 표현되지 않고 도드라
진 듯 한데 원형의 보개를 올려놓기 위해
파손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합니다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은 전체 높이가 3.7미터, 불상 높이는 2.75m로
전체적인 비례가 맞아 불교 조각이 변해가는 고려시대 이전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산 깊고 물 맑은 고장으로 풍광 때문에 거창에는
물 맑은 계곡마다 누대와 정자가 많이 있습니다
경남 거창은 남부 지방인데도 하루 중 일교차가 커서 과일의
당도가 높아 거창사과는 그 맛이 좋다고 합니다
몸이 머리에 비해 가는 편으로 세련된 조각과 전체적인 조화로 봐서
9세기 통일신라시대 불교 조각품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은 얼굴의 이목구비가 아직까지 뚜렷하며
보존 상태도 좋은 편이고 목에는 삼도가 있습니다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은 허리에서 무릎 아래를 덮은 긴 치마 모양의
군의는 접힌 모양까지 세심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불상의 주위에 주춧돌이 남아 있고, 불상 앞에 석등 재료가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일대에 사찰이 있었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상 주위에 주춧돌과 기와조각들이 확인되고 있어 금양사 혹은
노혜사라고 부르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양평리석조여래입상은 전체 높이 3.7m의 거대한 석조불상으로
따로 마련된 연화무늬 대좌 위에 서 있는 형태입니다
머리 위에 얹어 놓은 모자 모양의 천개는 근래에 만들어진 것으로
머리는 신체에 비해 크며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이 있습니다
양평리석조여래입상이 얇게 걸치고 있는 옷자에는 U자형의 옷
주름이 흐르다가 두 다리에서 긴 타원형을 그리고 있습니다
양평리석조여래입상은 오른손을 내려 옷자락을 잡았고
왼손은 배에 대어 검지손가락만 펴고 있습니다
두 팔은 몸에 붙어 있어 조금은 부자연스러워 보입니다
발밑에는 대좌에 꽂기 위해 만들었을 뾰족한 촉이 나와 있는데
대좌는 지금 윗부분만 보이며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원형으로 솜씨 있게 처리된 얼굴을 제외하고는 긴장미가 줄어들었지만
대체적으로 세련미가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합니다
화강암으로 만든 석가여래입상으로 목에는 삼도가 선명하며 통견으로
대의는 몸에 밀착되어 가슴과 허리, 양다리의 볼륨이 뚜렷합니다
왼손은 인지를 곧게 펴 가슴 높이로 들고 오른손은 곧게 내려 엄지와
인지로 옷자락 끝을 살짝 쥔 특징적인 수인을 하고 있습니다
양평리석조여래입상은 원통형의 신체, 굴곡진 허리와 두 다리 등에서
양감이 잘 표현된 통일신라 후기의 우수한 불상이라고 합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창 농산리 석불입상을 찾아서 (0) | 2011.06.22 |
---|---|
상림리 석포관음입상을 찾아서 (0) | 2011.06.22 |
미륵사지 삼층석탑을 찾아서 (0) | 2011.06.19 |
중원 봉황리 마애불상군을 찾아서 (0) | 2011.06.09 |
중원창동마애불을 찾아서 (0) | 2011.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