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_DAUM->
남산리삼층석탑의 명칭과 규모
남산 동쪽 기슭 양피제 서쪽의 폐사지(廢寺址)에 서있는 경주남산리삼층석탑은 양식을 달리하면서 동서에 대립하는 특수한 쌍탑이다.
사찰에서 쌍탑인 경우 두 탑은 모양과 크기가 같거나 비슷한 것이 보편적이다.
이는 감은사지, 장항리사지, 천군리사지, 원원사지, 숭복사지 등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이처럼 신라 통일기의 동서 쌍탑은 대체로 동일한 양식으로 조성되지만 이 곳 남산리삼층석탑에서 보는 것처럼 서로 다른 양식으로 된 쌍탑형식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서로 다른 형식의 석탑이 쌍탑으로 가람에 배치되는 것은 불국사의 다보탑과 석가탑의 영향으로 짐작된다.
사찰의 정확한 이름은 알 길이 없으나『삼국사기』신라본기 진평왕 9년 가을 7월조2) 및『신증동국여지승람』경주부 고적조에는 남산사(南山寺)라 전해지고, 『삼국유사』사금갑조(射琴匣條) 및 염불사조(?佛師條)에는 남산 동쪽의 양피사(讓避寺) 등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 절터의 동서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말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산리삼층석탑 동탑 - 모전석탑계삼층석탑
동탑은 큼직한 방형 무사석(武砂石) 기단 위에 모전석탑계 삼층석탑으로 상륜부는 노반을 제외하고 모두 오래전에 결실된 상태이다.
둔중(鈍重)한 무사석 기단에 우직한 탑신은 전반적으로 석탑의 균형을 잘 이룬다.
통일신라시대 모전석탑계 삼층석탑으로, 옥개석의 낙수면도 옥개받침처럼 층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경주지역에서 이와 같은 모양의 모전석탑은 경주서악리삼층석탑(보물 제65호)과 남산용장계지곡제3사지(茸長溪池谷第3寺址)삼층석탑 등 3기 밖에 없는 흔하지 않은 모양의 석탑이다.
남산리삼층석탑 서탑
서탑은 통일신라시대 전형양식인 이중기단에 삼층석탑으로 기단부와 탑신부의 부재는 비교적 온전하지만, 상륜부는 노반만 남아 있고 모두 오래 전에 결실된 상태이다.
전체적으로 적정한 비례로 균형 잡힌 신라 후기의 전형석탑이다. 하층기단 면석 탱주는 2주로 3구(區)로 구분하고 있으나, 상층기단 면석 탱주는 1주로 2구로 구분하고 각 면 2구씩 팔부신중을 돋을새김 하였다.
이와 같이 상층기단 면석에 팔부신중을 돋을새김한 예는 서남산 창림사지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영천 신월동삼층석탑(보물 제465호), 숭복사지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94호, 경주시)등에서 볼 수 있다.
옥개석 층급받침은 5단이다
동탑과 서탑의 옥개석 낙수면의 비교
서탑의 낙수면 동탑의 낙수면
서탑 기단부의 팔부신중상
팔부신중은 실존하지 않는 신들로 밀교(密敎)가 발달함에 따라 인도 신화에 나오는 여러 신들을 흡수함으로써 석가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존재로 상징화한 것이다.
천(天), 용(?), 야차(夜叉), 건달파(乾婆), 아수라(阿修?), 가루라(迦??), 긴나라(緊那?), 마후라가(摩喉?伽)이다. 천은 금강저(?剛杵)를 든 모습이고, 용은 용머리나 뱀의 모습이며, 아차는 사자나 사슴, 말 등의 짐승 모습, 건달파는 삼차극(三叉戟)을 들고 있는 모습, 아수라는 팔과 얼굴을 여러 가지 모습, 가루라는 새머리, 긴나라는 사람머리에 새의 몸을 하거나 말머리에 사람 몸을 한 모습, 마후라가는 뱀의 관(冠)을 쓴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변화가 많기 때문에 분명히 구분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9세기 무렵부터 석탑의 기단부에 조각되기 시작하는데, 대개가 무복(武服) 차림이며, 석굴암의 팔부신중이 가장 유명하고, 남산 창림사터. 숭복사지 석탑에서도 볼 수 있다.
1960년대의 남산리삼층석탑
동탑
서탑
※참고로 서악리 3층모전석탑을 올립니다. 비교하여 보세요
서악동 3층모전석탑
'경주문화재답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지 스님의 석장사지를 찾아서 (0) | 2011.03.17 |
---|---|
경주 서남산 삼릉 의 효자비를 찾아서 (0) | 2011.03.14 |
[스크랩] ??장항리사지 서오층석탑의 크기 (0) | 2011.03.07 |
[스크랩] ??남산탑곡마애조상군의 도면 (0) | 2011.03.04 |
경주 마석산 죽곡 삼층석탑을 찾아서 (0) | 2011.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