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_DAUM->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
<문화재청에서 정한 것으로 2013년 1월부터 시행되는 기준입니다>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Standing Golden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I. 기본 원칙
문화재 명칭의 영문표기는 1)우리 문화재의 세계화를 위하여 고유한 국문 문화재 명칭은 가능한 보존한다. 2)우리 문화재의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화재 명칭의 명명요소 중 보통명사는 의미역으로 표기하고 고유명사는 단어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로마자표기와 의미역 표기를 병행한다. 3)다양한 명명요소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문화재 명칭은 그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4)상이한 표기 기준의 장단점이 대립 될 경우 활용성과 범용성이 큰 쪽을 선택한다. 세부 표기 방식은 문화재 유형별 표기 지침을 참고한다.
Ⅱ. 일반 원칙
1.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는 문화관광부고시 제 2000-8호(2000.7.7)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단, 이 표기법이 개정될 경우 새로운 표기법을 따른다.
2. 부호 표기
괄호, 붙임표(-), 아포스트로피('), 쉼표(,) 등의 부호는 각각의 지정된 용도에만 사용할 수 있다. 단, 로마자 표기상 발음을 구분하는 붙임표(-)와 아포스트로피(') 등의 부호는 사용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예]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Gangneung Danoje (Dano Festival of Gangneung)
이제현(李齊賢) Yi Je-hyeon
수피아 여학교 Speer Girls' School
매조죽문(梅鳥竹文) Plum, Bird, and Bamboo Design
서오릉(西五陵) Seooreung Royal Tombs
환구단(圜丘壇) Hwangudan Altar
3. 인명 표기
인명은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성명이 표기된 경우에는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쓴다. 단, 인명의 로마자 표기는 그 동안 써 오던 표기 방식을 존중하여 쓸 수 있다.
[예]
이제현초상(李齊賢肖像) Portrait of Yi Je-hyeon
신당동 박정희대통령 가옥(新堂洞 朴正熙 大統領 家屋)
House of President Park Chung-hee in Sindang-dong
4. 기관(단체)명 표기
기관(단체)명은 해당 기관에서 표기한 방식을 존중하여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별도의 표기 관행이 없으면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예]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홀(梨花女子大學校 파이퍼홀)
Pfeiffer Hall of Ewha Womans University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홀(光州 舊 수피아女學校 수피아홀 )
Speer Hall of Former Jennie Speer Memorial School for Girls in Gwangju
5. 지명(행정구역) 표기
문화재 명칭에 도, 시, 구, 군 등 행정구역 단위가 포함된 경우는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고 붙임표(-)를 사용한다.
[예]
거창 정장리 최남식 가옥(居昌 正莊里 崔南植 家屋)
Choe Nam-sik's House in Jeongjang-ri, Geochang
6. 대, 소문자 표기 및 띄어쓰기
영문표기의 각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하되 전치사와 관사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로마자 표기의 띄어쓰기는 문화재 지정 명칭 국문의 단어 단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도서, 회화 등 작품의 고유한 이름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경우에는 문화재 지정 명칭 국문의 의미 단위로 띄어 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영문표기 명칭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도산서원(陶山書院)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봉정사 화엄강당(鳳停寺 華嚴講堂)
Hwaeomgangdang Lecture Hall of Bongjeongsa Temple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Joseon Dynasty)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Inwang jesaekdo (A Scene of Inwangsan Mountain after Rain) by Jeong Seon
Ⅲ. 문화재 명칭 명명유형
1. 단일 구성 명칭: 하나의 개념·용어 또는 고유한 이름에서 온 문화재 명칭
1-A. 단일 구성 명칭(건조물 유적, 명소)
1-B. 단일 구성 명칭(서적, 회화)
1-C. 단일 구성 명칭(무형문화재)
1-D. 단일 구성 명칭(동·식물명)
2. 복합 구성 명칭: 속성을 표시하는 2개 이상의 용어가 조합된 문화재 명칭
2-A. 복합 구성 명칭(도자)
2-B. 복합 구성 명칭(석조, 목조, 금속, 나전 등)
2-C. 복합 구성 명칭(불상)
2-D. 복합 구성 명칭(전적류)
2-E. 복합 구성 명칭(회화류)
2-F. 복합 구성 명칭(명문이 포함된 문화재 명칭)
2-G. 복합 구성 명칭(의복, 가구류)
2-H. 복합 구성 명칭(무형문화재)
3. 지명이 포함되는 문화재 명칭
3-A. 행정구역명 + 문화재명
3-B. 상하 행정구역명 + 문화재명
3-C. 유적지/출토지명 + 문화재명
4. 인명이 포함되는 문화재 명칭
4-A. 인명 + 문화재명
4-B. 시대명 + 인명 + 문화재명
4-C. 지명 + 인명 + 문화재명
Ⅳ. 명명유형별 영문표기 세부 지침
1. 단일 구성 명칭
하나의 개념·용어 또는 고유한 이름에서 온 문화재 명칭, 즉 명명요소 하나로 이루어진 문화재 명칭을 단일 구성 명칭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보통명사는 의미역하고, 고유명사는 단어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표기와 의미역 표기를 병행한다. 세부 표기 방식은 문화재 유형별 표기 지침을 참고한다.
1-A. 단일 구성 명칭(건조물, 유적, 명승)
용도나 종류 등을 나타내는 후부 요소가 포함된 자연지물 또는 인공축조물 등의 고유명사는 로마자 표기와 분류어의 의미역 표기를 함께 사용한다. 이때 후부 요소는 '실질적인 사용 용도'를 기준으로 의미역하고 괄호 없이 덧붙인다.
[예]
경복궁(景福宮) Gyeongbokgung Palace
남한산성(南漢山城) Namhansanseong Fortress
도산서원(陶山書院)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백악산(白岳山) Baegaksan Mountain
검룡소(儉龍沼) Geomnyongso Spring
1-B. 단일 구성 명칭(서적, 회화)
서적, 회화 등 동산문화재의 명칭이 작품의 제목에 해당하는 고유한 이름인 경우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괄호 안에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로마자 표기의 띄어쓰기는 지정 명칭 국문의 의미 단위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영문표기 명칭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쓰고 나머지 단어의 첫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삼국유사(三國遺事)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동궐도(東闕圖) Donggwoldo (Painting of Eastern Palaces)
1-C. 단일 구성 명칭(무형문화재)
음악, 무용, 놀이, 의식, 공예기술 등 무형문화재의 이름은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괄호 안에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
강강술래 Ganggangsullae (Circle Dance)
옥장(玉匠) Okjang (Jade Carving)
1-D. 단일 구성 명칭(동, 식물명)
동식물명은 영어명(English common name)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학명을 괄호 안에 표기한다. 단, 한국이 원산지이고 아직 영어명이 없는 동식물은 국문 명칭을 로마자로 표기한다. 학명의 표기 방식은 국제명명규약에 따른다.
[예]
장수하늘소 Longhorned Beetle (Callipogon relictus)
울릉국화 Ulleung Gukhwa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 H. Park)
2. 복합 구성 명칭
해당 문화재의 속성을 표시하는 2개 이상의 용어가 조합된 문화재 명칭, 즉 두 개 이상의 명명요소가 결합된 것을 복합 구성 명칭이라 부르기로 한다. 복합 구성 명칭인 문화재 명칭은 각 문화재의 유형별 세부 지침에 따라 표기한다.
2-A. 복합 구성 명칭(도자)
○ 종류+형태+용도
문화재 명칭이 ‘종류+형태+용도’ 순으로 된 경우, 형태의 성격에 따라 ‘종류+형태+용도’ 또는 ‘형태+종류+용도’ 순으로 한다. 형태에 대한 묘사가 복잡할 때는 ‘종류+용도+형태’ 순으로 할 수도 있다.
[예]
분청사기 편병 (粉靑沙器 扁甁)
Buncheong Flat Bottle
분청사기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有蓋壺)
Buncheong Lidded Jar
청자 참외모양 병(靑磁 瓜形 甁)
Melon-shaped Celadon Bottle
백자 병형 주전자(白磁 甁形 注子)
Bottle-shaped White Porcelain Ewer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靑磁 母子猿形 硯滴)
Celadon Water Dropper in the Shape of Mother and Baby Monkeys
○ 종류+기법+무늬+용도
문화재 명칭이 ‘종류+기법+무늬+용도’ 순으로 된 경우, 기법을 표현하는 영문표기의 형태에 따라 “종류+용도+기법+무늬” 또는 ‘종류+용도+무늬+기법’, ‘종류(기법 포함)+용도+무늬’ 순으로 표기한다.
[예]
청자 상감당초문 완(靑磁 象嵌唐草文 碗)
Celadon Bowl with Inlaid Arabesque Design
백자 동화매국문 병(白磁 銅畵梅菊文 甁)
White Porcelain Bottle with Underglaze Copper Plum and Chrysanthemum Design
청자 양각죽절문 병(靑磁 陽刻竹節文 甁)
Celadon Bottle with Bamboo Design in Relief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白磁 靑畵雲龍文 立壺)
Blue-and-White Jar with Cloud and Dragon Design
2-B. 복합 구성 명칭(석조, 목조, 금속, 나전 등)
○ 재질+형태+용도
문화재 명칭이 ‘재질+형태+용도’ 순으로 된 경우, 또는 ‘재질+용도’ 순이면서 용도에 형태가 내포되어 있는 경우 영문표기는 표현의 자연스러움에 따라 ‘재질+형태+용도’ 또는 ‘재질+용도+형태’ 순으로 한다.
[예]
금제 고배(金製高杯)
Gold High-footed Cup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
Gilt-bronze Dragon-head Finial
금동 수정 장식 촛대(金銅水晶裝飾燭臺)
Gilt-bronze Candlesticks with Inlaid Crystal Ornaments
○ 재질+기법+무늬+용도
문화재 명칭이 ‘재질+기법+무늬+용도’ 순으로 된 경우, 또는 ‘기법+무늬+용도’ 순이면서 용도에 재질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 영문표기는 ‘재질+용도+기법+무늬’ 순으로 표현한다.
[예]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香垸)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Willow and Waterfowl Design
나전 화문 동경(螺鈿花文銅鏡)
Bronze Mirror with Inlaid Mother-of-pearl Floral Design
2-C. 복합 구성 명칭(불상)
부처와 보살의 이름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스크리트어가 있을 경우 이를 사용한다. 산스크리트어 표기를 위한 특별기호는 생략하고 로마자로 가까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권장한다.
○ 재질+존명+자세
문화재 명칭이 ‘재질+존명+자세’ 순으로 된 경우, 표현의 자연스러움에 따라 ‘자세+재질+존명’ 또는 ‘재질+존명+자세’ 순으로 표기한다.
[예]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Standing Gilt-bronze Bodhisattva
석조약사여래좌상(石造藥師如來坐像)
Seated Stone Bhaisajyaguru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Seated Clay Vairocana Buddha Triad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Gilt-bronze Maitreya in Half Lotus Position
2-D. 복합 구성 명칭(전적류)
도서나 지도의 이름은 그것의 제목에 해당하는 고유한 이름이 있는 경우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고문서의 경우처럼 내용을 설명하는 단어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명칭은 국문 명칭의 뜻을 의미역하여 표기한다.
[예]
조선지도(朝鮮地圖) Joseon jido (Map of Joseon)
능성 쌍봉사 감역교지(綾城 雙峰寺 減役敎旨)
Royal Edict on Labor Exemption Issued to Ssangbongsa Temple in Neungseong
○ 불경
불경을 비롯한 불교 관련 저작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스크리트어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영어 제목이 있는 경우 이를 괄호 안에 병기한다. 산스크리트어 표기를 위한 특별기호는 생략하고 로마자로 가까운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권장한다.
[예]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Saddharma Pundarika Sutra (Lotus Sutra)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Avatamsaka Sutra (Flower Adornment Sutra)
2-E. 복합 구성 명칭(회화류)
회화나 서예 등은 작품의 제목에 해당하는 고유한 이름이 있는 경우 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괄호 안에 의미역 표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작가 이름이 포함된 경우는 전치사(by)를 이용해서 표기한다.
[예]
유숙필매화도(劉淑筆梅花圖)
Maehwado (Painting of Plum Blossoms) by Yu Suk
김정희필 세한도(金正喜筆 歲寒圖)
Sehando (Winter Scene) by Kim Jeong-hui
2-F. 복합 구성 명칭(명문이 포함된 문화재 명칭)
명문이 포함된 문화재 이름은 유물 이름을 앞에 두고 ‘with Inscription of’라는 구절을 써서 명문을 뒤에 붙인다. 이 때 명문 내용은 인용 부호(“ ”) 안에 넣는다.
[예]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白磁 天地玄黃銘 鉢)
White Porcelain Bowls with Inscription of "Cheon", "Ji", "Hyeon", and "Hwang"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興王寺銘 靑銅銀入絲香盌)
Bronze Incense Burner with Inscription of "Heungwangsa Temple" and Silver-inlaid Design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
Standing Gilt-bronze Buddha Triad with Inscription of "Gyemi Year"
2-G. 복합 구성 명칭(의복, 가구류)
의복이나 가구류에서는 유물명을 앞에 두고 그 유물과 연관된 사람이나 장소, 무늬 등을 뒤에 덧붙인다.
[예]
김덕원묘 출토 의복(金德遠墓 出土 衣服)
Clothes Excavated from Kim Deok-won's Grave
십장생수이층롱(十長生繡二層籠)
Chest-on-chest Embroidered with Ten Symbols of Longevity
2-H. 복합 구성 명칭(무형문화재)
음악, 무용, 놀이, 의식, 공예기술 등 무형문화재의 명칭 가운데 전래지역의 이름(지명)이 포함된 경우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되, 지명에 붙은 조사는 로마자 표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적절한 의미역을 괄호 안에 병기할 수 있다.
[예]
고성농요(固城農謠) Goseong Nongyo (Farmers' Song of Goseong)
봉산탈춤(鳳山탈춤) Bongsan Talchum (Mask Dance of Bongsan)
동해안별신굿(東海岸別神굿) Donghaean Byeolsingut (Village Ritual of the East Coast)
나주의샛골나이(羅州의샛골나이)
Naju Saetgollai (Cotton Weaving of Saetgol, Naju)
무형문화재의 명칭 속에 2 종의 문화재를 병기하기 위해 쓰인 ‘및’은 로마자로 표기하지 않고 ‘and'를 사용하여 병칭임을 나타낸다.
[예]
가야금산조및병창(伽倻琴散調및倂唱)
Gayageum Sanjo and Byeongchang (Free-style Gayageum Solo and Singing Accompanied by Gayageum)
서해안배연신굿및대동굿(西海岸배연신굿및大同굿)
Seohaean Baeyeonsingut and Daedonggut (Fishing Ritual of the West Coast)
3. 지명이 포함되는 문화재 명칭
3-A. 행정구역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이 행정구역명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행정구역명이 고유명사화된 문화재 명칭의 일부인지, 소재지의 표시를 위해 부가된 것인지를 구분하여 표기한다.
고유한 명칭의 일부로 간주되는 행정구역명은 이름에 포함된 형태로 표기한다.
[예]
화천 수력발전소(華川 水力發電所) Hwacheon Hydropower Plant
고유의 명칭 앞에 행정구역명이 부가된 경우에는 ‘문화재명+행정구역명’의 순으로 표기한다.
[예]
화천 꺼먹다리(華川 꺼먹다리) Kkeomeokdari Bridge in Hwacheon
서울 숭례문(서울 崇禮門) Sungnyemun Gate in Seoul
구미 채미정(龜尾 採薇亭) Chaemijeong Pavilion in Gumi
울진 성류굴(蔚珍 聖留窟) Seongnyugul Cave in Uljin
3-B. 상하 행정구역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에 상하위 관계로 이어지는 두 행정구역명이 나란히 있는 경우에는 ‘문화재명+하위 행정구역명+상위 행정구역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대전 회덕 동춘당(大田 懷德 同春堂)
Dongchundang House in Hoedeok, Daejeon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錦山 要光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Yogwang-ri, Geumsan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Standing Golden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3-C. 유적지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에 유적지명이 포함된 경우, ‘문화재명+유적지명’의 순으로 표기한다. 상하위 관계를 이루는 2개 이상의 유적지명이 나열된 경우에는 ‘문화재명+하위 지명+상위 지명’의 순서로 표기한다.
[예]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용주사 동종(龍珠寺 銅鍾)
Bronze Bell of Yongjusa Temple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實相寺百丈菴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at Baekjangam Hermitage of Silsangsa Temple in Namwon
황남대총 북분 금관(皇南大塚北墳 金冠)
Gold Crown from the North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Sarira Reliquaries from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4. 인명이 포함되는 문화재 명칭
4-A. 인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이 ‘인명+문화재명’ 순으로 된 경우, ‘문화재명+인명’ 순으로 표기한다. 단, 영문표기상에서 인명임이 불분명해지는 경우에는 ‘인명+문화재명’으로 할 수 있다.
[예]
정조어필(正祖御筆) Calligraphy by King Jeongjo
광해군묘(光海君墓) Tomb of King Gwanghaegun
정온선생가옥(鄭蘊先生家屋) Jeong on's House
4-B. 시대명 + 인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이 ‘시대명+인명+문화재명’ 순으로 된 경우, ‘문화재명+인명+시대명’ 순으로 표기한다.
[예]
신라무열왕릉(新羅武烈王陵) Tomb of King Muyeol of Silla
4-C. 지명 + 인명 + 문화재명
문화재 명칭이 ‘지명(행정구역명/유적지명)+인명+문화재명’ 순으로 된 경우, ‘문화재명+인명+지명’ 순으로 표기한다.
[예]
원서동 고희동 가옥(苑西洞 高羲東 家屋)
Go Hui-dong's House in Wonseo-dong
해남 윤선도 유적 (海南 尹善道 遺蹟)
Historic Site Related to Yun Seon-do in Haenam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
Stele of Priest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in Boryeong
****************************************************************************
경복궁은 '경복궁 궁'…문화재명칭 영문표기기준
문화재 명칭을 로마자와 의미역 표기로 병행하는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이 나왔다.
경복궁 '경복궁 팰리스'(Gyeongbokgung Palace), 북한산은 '북한산 마운틴'(Bukhansan Mountain)으로 표기한다. 또 아미산은 '아미산 가든(Amisan Garden)', 남한산성은 '남한산성 포트리스(Namhansanseong Fortress)', 도산서원은 '도산서원 컨퓨션 아카데미(Dosanseowon Confucian Academy)'로 쓴다.
21일 문화재청은 "그동안 하나의 문화재가 여러 가지 영문으로 표기돼 혼란을 초래했다. 또 새로운 영문명칭이 필요할 때도 일정한 표기 기준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던 것을 없애기 위해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을 마련해 내년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문화재 명칭 영문표기 기준'의 기본원칙은 ▲국문 고유의 문화재 명칭을 최대한 보존 ▲보통명사는 단어의 뜻을 영어로 옮기는 방식의 의미역을 적용하고 고유명사는 해당 음을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거나 의미역 표기 병행 ▲문화재 명칭은 생략 없이 그 명칭 전체를 표기 ▲기준이 대립하면 활용성과 범용성이 큰 쪽을 선택하게 했다.
이 표기 기준은 로마자표기법, 부호, 기관명, 인명, 지명, 띄어쓰기, 대·소문자 표기의 7가지 일반원칙과 문화재 유형별로 명칭을 부여하는 18가지 기준(방식)을 정했다. 또 문화재 명칭을 구성하는 850여 개 국문요소에 대한 영문 대역어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건조물과 유적 명소는 문화재 이름 전체를 고유명사로 보고 자연지명과 유적이름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며 보통명사 의미역(접미어)을 덧붙인다. 경복궁은 'Gyeongbokgung Palace', 북한산은 'Bukhansan Mountain' 등이 보기다.
이유범 문화재청 활용정책과장은 "이번에 내놓은 영문표기 기준은 문화재 영어명칭을 일관성 있게 명명하고 통일된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3년간 분야별 전문가 검토와 세미나, 공청회, 대국민 여론 수렴, 실무 검토 등을 20차례나 했다. 그 결과 전체 233건의 의견이 제출됐고 이 가운데 75%인 176건이 반영됐다.
이 과장은 "최대한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특히 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 협회장 등 주한 외국인 토론회와 국내 외국 대학원생들의 의견도 수렵했다"고 설명했다. 또 불교 문화재 명칭을 위해 조계종과 협의를 했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문화재 명칭 4000여개를 분석, 우리말 의미를 가장 잘 전달 할 수 있도록 850여 개의 한글단어를 추출해 정확성과 일관성, 보편성을 갖춘 표준 영문 대역어를 제시했다. 예를 들어 '금동여래입상'은 '금동' '여래' '입상' 등이다.
이유범 과장은 "명명요소에 대한 영문 대역어 제시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했다"며 "그 과정에서 각 분야 학계의 합의가 안 되는 부분도 많았다"고 말했다. "850개의 영문 대역어는 완벽한 안이 아니다. 합의가 이뤄지는 데로 지속해서 수정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이 기준을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이를 행정규칙으로 제정, 내년 1월 중에 시행할 계획이다. 앞으로 문화재를 신규로 지정하거나 등록할 때는 국문 문화재 명칭과 함께 영문명칭도 관보에 고시토록 할 예정이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4000여 개 국가지정(등록)문화재에 대한 문화재의 공식명칭과 약칭도 함께 제시하는 영문표기 용례집을 내년 3월까지 제작해 지자체 등에 배포한다. 이에 앞서 홈페이지와 안내판 등을 일괄 정비한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승탑의 명칭 (0) | 2014.06.20 |
---|---|
[스크랩] 불상의 명칭 (1) | 2014.06.20 |
[스크랩] 국보ㆍ보물「석조문화재」지정명칭 변경 (0) | 2014.06.20 |
[스크랩] 부처의 수인(手印) (0) | 2014.06.20 |
[스크랩] 막새기와의 명칭 (0) | 2014.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