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을 찾아서
함양 수동면
우명리 승안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통일신라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곳곳에 고려 특유의 수법을
보여주고 있는 탑으로 위층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을 새겨두었고 위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연꽃조각을 새겨 둘러놓았는데 이러한
장식은 보기 드문 모습으로 탑신은 각 층의 몸돌
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고 2층부터는
몸돌의 크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데 1층의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을 조각하여 놓았고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지붕의 경사는 급하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며 네 귀퉁이가 거의 들려있지 않으며
탑의 꼭대기에는 노반위에 복발과 앙화가
남아있으며 이 탑은 원래의 위치에서
두 번 옮겨졌다고 하며, 고려시대
석조여래좌상이 있습니다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기단과 몸돌에 조각들이 아름다운 탑입니다
보여주고 있는 탑으로 위층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을 새겨두었습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위층 기단의 맨 윗돌에는 연꽃조각을 새겨 둘러놓았는데
이러한 장식은 보기 드문 모습으로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고 있습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2층부터는 몸돌의 크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데
1층의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을 조각하여 놓았습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넓고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지붕의 경사는 급하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고 있습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받침의 노반 위에 엎어놓은 그릇 모양의 장식을
한 복발과 솟은 연꽃 모양의 장식을 한 앙화가 남아있습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1층의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을 조각하여
놓았는데 남쪽 1층 몸돌에 있는 남방 증장천왕의 모습입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기반부가 이중으로 되어 있고 하층 기단은 지대석과
중석, 갑석을 한 돌에 새겨 모두 네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남쪽 1층 몸돌에 있는 남방 지장천왕
상층 기단 중석은 모두 4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탱주로 양분된 각
면에는 부처, 보살, 비천상 등이 2구씩 8구가 양각되어 있습니다.
조금 떨어진 곳에는 고려시대 석조여래좌상이 있습니다
1962년 탑을 옮길 당시 1층 몸돌에서 발견된 사리장치를 통해 처음 탑을 옮겨
세운 시기가 조선 성종 25년(1494)인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승안사지 석조 여래좌상은 수동면 우명리에 위치한 승안사지에 있는데
승안사지 3층 석탑에서 20m 가량 떨어진 곳의 개천 주위에
하반신이 묻힌채 상반신만 남아있습니다.
일자로 다문 입이 인상적이며 머리부분은 신체와 비례가
맞지 않아 매우 어색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승안사지 석조 여래좌상은 오른팔 등에 파손이 있고 하체가 매몰되어
있으나 상체의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평판적이고 직선적인 신체의 윤곽선 등은 당대의 거구 불상에 나타낸
조형성을 잘 드러낸 고려시대의 석불좌상이라고 합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대체로 통일신라 석탑의 기본을 잘 따르고 있으며 기단과
탑신의 비례가 균형을 잃어 잘 다듬은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승안사지 삼층석탑은 곳곳에 나타나는 특수한 양식이나 장식에 많은 힘을
기울인 흔적 등 고려 전기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장안사를 찾아서 (0) | 2012.11.27 |
---|---|
울산 어물동 마애약사여래삼존불을 찾아서 (0) | 2012.11.20 |
함양 마천의 서암정사를 찾아서 (0) | 2012.10.04 |
청송 방호정을 찾아서 (0) | 2012.10.01 |
선불교 최고의 종가 벽송사를 찾아서 (0) | 201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