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공검지를 찾아서,
공검지는
경북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저수지로
공갈 못 이라고도 하는데 고려
명종25년(1195)에 상주사록 최정분이
예로부터 있었던 제방을 그대로 수축했다고
하며 제방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860보와 800보
이며 저수지의 둘레는 약 5km로 제천 의림지, 밀양
수산제, 김제 벽골제 등과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공검지 라는 이름은 제방을
쌓은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옛 부터 연꽃이
유명하여 연꽃에 얽힌 민요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삼한시대부터 저수지로 이용되었으나 지금은 거의 메워져
촌락과 농경지로 개답되었으며 현재는 수리시설 기능을
상실한 채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는데 상주는 옛
부터 쌀, 누에고치, 곶감이 유명하여 삼백의 고장
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전국 제일의
자전거 도시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상주
공검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보호
논 습지로 지정된 곳입니다
공검지는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저수지로 공갈 못 이라고도
하는데 1195년(고려 명종 25) 상주사록 최정분이 예로부터
있었던 제방을 그대로 수축했다고 합니다
공검지는 제방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860보와 800보이며, 저수지의 둘레는
1만 6,647자(약 5km) 였다고 하며 제천 의림지, 밀양 수산제, 김제
벽골제 등과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 합니다.
공검지의 제방은 토사(土砂)를 판축(板築)하여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쌓았으며 판축방법은 토성(土城)을 쌓는 방법을 이용했으나,
물의 압력에 잘 견디도록 밑 부분을 넓게 했습니다.
공검지의 재료는 작은 자갈과 진흙을 다져서 사용하고, 각각의 재료 사이에
빈틈을 없앰으로써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였는데 홍귀달이 쓴 공검지기에
의하면 공검지라는 이름은 제방을 쌓은 사람의 이름이라고 합니다
공검지는 예로부터 연꽃이 유명하여 연꽃에 얽힌 민요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삼한시대부터 저수지로 이용되었으나 거의 메워져
촌락과 농경지로 개답되었습니다.
공검지는 현재 만수시 약 3,306㎥ 정도의 규모만이 남아 있어 수리시설 기능을
상실한 채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고 있습니다.
상주는 백두대간의 줄기에 해당되는 소백산맥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자연경관이
빼어나며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이 굽이쳐 흐르는 기름진 영남제일의
곡창지대로 쌀, 누에고치, 곶감이 유명한 삼백의 고장입니다
상주가 최근에는 전국제일의 자전거 도시로 한방 바이오산업과 더불어 자연과
환경.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생태. 환경도시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상주는 빼어난 산수와 아름다운 옛 전통문화가 조화롭게 살아 숨 쉬는 청정 웰빙의 도시
상주는 낙동강 자락에 위치한 천혜의 관광자원 경천대와 상주자전거박물관, 효자
정재수 기념관“ 성주봉 자연휴양림, 문장대를 비롯하여 장각폭포, 견훤산성,
동학교당, 우복종가, 충의사, 상주향교, 도남서원, 남장사 등 뿌리 깊은
전통과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상주 공갈 못은 의림지 벽골제와 같은 시대인 삼한시대에 수축된 저수지로 역대
여러 차례의 보수를 하였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길이 없고, 고려 명종
때 최 정빈이란 분이 고쳐 쌓았는데 못 둑의 길이가 8백 6십 보이고, 못
주위의 길이가 1만6천6백4십칠 척 이라 상산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공검지는 이 못에 물이 차면 수심이 다섯 길이나 되었고, 서쪽 못 가로는 연꽃이
만발하는데 그 절경을 중국의 전당 호에 비길 정도라 했습니다.
공검지는 전설에 의하면 이 못의 얼음 어는 것을 보고 흉년, 풍년을 예측하였다고
하며 또 정월 열 나흗날 밤, 소들이 땀을 흘리는데 그것은 밤을 이용하여
소들이 못에 얼음을 갈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공검지는 또 경주 용담의 암용이 공갈 못 숫 용에게 시집온 이야기도 있고
또 볶은 콩 서 되를 하나씩 먹으면서 말을 타고 못 가를 돌아도
콩이 모자란다는 말도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공검지는 속설에 "저승에 가도 공갈 못을 구경하지 못한 사람은 이승으로 되돌려
보낸다"고 하였는데 함창 읍지에는 이 못의 서반에는 몇 리에 걸쳐 연꽃이 피어
있으며 마치 중국의 전당 호를 방불케 하는 풍취를 지녔다고 하여
그 아름다움과 연꽃의 풍광을 말하여 주고 있습니다.
공검지는 이 못의 이름이 공갈 못이라 부르게 된 것은 못 둑을 쌓을 때
"공갈"이라는 아이를 묻었다는 매아 설화에 의하여 붙여진 것이라고
하며 주민들은 이 못을 신령스러운 영지로 신앙하여 왔습니다
공검지가 이제는 이와 같은 전설과 연밥 따는 노래가 공갈 못을 상기시켜 줄 뿐
못은 논으로 변하여 그 모습과 풍광을 찾을 길이 없으나 다만 옛 못을 알려주는
비석이 옛 못 둑에 외롭게 서서 이곳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공갈 못에는 연밥 따는 노래가 구전되고 있는데 이 노래는 공갈 못을 배경으로
발생된 민간 노래로 가사의 내용은 연정, 사친, 호련 등 입니다.
채련요라는 노래는 상주, 함창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서 전승 보존되는
이 지방 특유의 무형 문화재로 귀중한 가치를 지닌 것이라고 합니다
공검지에는 연꽃으로 유명하여 사진을 찍으려는 사진작가들의 발길이
이어질 정도라고 하는데 입구쪽으로는 배력이심겨져 있고
안쪽으로 들어가면 붉은색의 연꽃이 숨어 있습니다
백련의 아름다운 꽃이이 다 떨어지고 난 뒤에는 팽이처럼 생긴 씨방이 자라는데
이 것이 잘 익으면 씨방 속에는 제법 도토리 같은 크기의
연밥이 구멍 마다 들어 있습니다
검지
상주시에서 이 번에 새로 건립한 공검지 역사관 건물입니다
상주 공검지역사관은 아직 개관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가 먼져 전시관을 한 번 둘러보았습니다
상주 공검지역사관 출입구에 있는 현판입니다
상주시는 작은 것 하나라도 전통을 살려서 가꾸고 보전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하고 있는 지자체라고 생각 됩니다
공검지 수문을 그려보다는 내용을 보면서 경주 안압지 출수부에 있는 수문의 원리를 생각해 봅니다
나무조가들은 지상에서는 쉽게 썪어서 없어지지만 땅 속 깊은 곳의 뻘 속에서는 잘 썪지 않고 오래도록 그 형태를 보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공검지 수침목재 속의 비밀을 벋기고 있는 목재들의 모습입니다
공검지에는 못이 논으로 변하여 오래도록 논 농사를 지어 오다가 근래에 와서 옛 명성을 되 찾기 위하여 연을 심은 것 같습니다
공검지에는 채련요 라고 하는 공갈못 연밥따는 노래가 입에서 입으로 전래되고 있습니다
상주 함창 공갈 못에 연밥 따는 저 처자야
연밥 줄밥 내 따 줄께 이내품에 잠자주소
잠자기는 어렵잖소 연밥따기 늦어가오
상주 함창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큰아가 연밥 줄밥 내 따 줌세 백년 언약 맺어주소 백년 언약 어렵잖소 연밥따기 늦어가오
상주 함창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처자야 연밥을랑 내 따 주께 세간살이 내랑하소 세간살이 어렵잖소 연밥따기 늦어가오
상주 함창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큰아가 연밥 줄밥 내 따 줌세 우리부모 섬겨주소 부모섬김 어렵잖소 연밥따기 늦어가오
공검지는 연꽃이 풍성하여 꽃이 만발하면 중국의 전당호(서호)와 견줄 만하다고 하였는데 고려 명종 대에 공검지를 중수(1195)한 이후에 애창되었으리라고 추정되는 상주 민요 공갈못 연밥 따는 노래‘채련요’공검지의 연밥을 수확하면서 부른 노래입니다.
앞부분의 4행은 연밥 따는 처자의 아름다움에 반한 남성의 순박한 구애로 사내는 연밥 줄밥을 따주겠다면서 큰 아가에게 자기 품에 잠자 달라거나 백년언약을 맺어 달라, 세간살이를 같이 하자고 유혹하는 내용이고 후반 2행은 구애를 받은 처자의 소박한 응답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자는 사내의 제의를 받아들이는 건 어렵지 않은 일이지만 연밥 따는 일이 늦어간다는 현실적 우려로 그것을 슬그머니 물리치는데 아주 짧은 시구에 담긴 민중들의 은근한 사랑의 정서는 천 년의 시간을 넘은 뒷사람에게 미소를 머금게 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환경부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고시한 상주 공검지는 약 1400년 전 삼한시대에
축조된 농경용 저수지로 그 역사가 깊고 문화적 가치가 높아 시 도 기념물로 지정·
관리돼 온 인공습지로 이번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는 면적은 시 도 기념물로
지정된 면적(0.14㎢)보다 큰 0.264㎢ 라고 합니다.
예로부터 공검지를 '공갈못'이라 부르고 있는데, 매아설화에 따르면 저수지 축조
할 때 둑을 쌓으면 자꾸 터지고 하여 '공갈'이라는 아이를 묻고
둑을 쌓아 '공갈못'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상주 공검지는 제천 의림지(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1호), 김제 벽골제(사적 제11호)와
더불어 조선시대 3대 저수지로 유명했으나, 조선 후기 고종 이후 점진적으로
논으로 개간되어 그 흔적만 남아 있던 것을 1993년 상주시의 옛터 보전사업을
통해 일부 복원됐으며 현재 경상북도 기념물 제121호로 지정돼 있습니다.
'국내여행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땅의 고란초를 찾아서 (0) | 2012.08.11 |
---|---|
상주 금란정과 장각폭포를 찾아서 (0) | 2012.07.24 |
경주 양남의 주상절리를 찾아서 (0) | 2012.07.15 |
여주의 영월루를 찾아서 (0) | 2012.07.13 |
지리산 산내에 가면 언니네 집이 있다 (0) | 2012.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