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도문화재답사

두암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by 송강 (松岡) 최 재 모 2011. 11. 16.

 

두암리 삼층석탑을 찾아서

 

두암리

삼층석탑은

민가 옆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주위에서

고려시대의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이 옛 절터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충청북도 유형

문화재 제 120호로 지정되었는데

탑의 형식은 2중으로 된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리고 그위에 상륜부를

장식한 일반형석탑으로 하층 기단의

각면에는 3구씩의 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갑석은 4장의 판석으로 이루

어져 있고 상층 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가 모각되어 있는데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각 한 개의 돌로 되었습니다

=== 두암리삼층석탑 ===

  

 

 

두암리 삼층석탑은 두암마을의 민가 옆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위에서 고려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이

옛 절터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두암리 삼층석탑은 상륜부를 제외하고는 제 짝을 갖추고 있어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0호입니다

 

 

 

두암리 삼층석탑의 형식은 2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리고 그 위에 상륜부를 올린 일반형 석탑입니다

 

 

 

이와 같은 수법은 신라시대 유행하던 것으로 신라문화의

영향을 받은 고려시대 것으로 상층 기단과 1

몸돌에 비해 2층과 3층 몸돌이 낮습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3구씩의 안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갑석은 4장의 판석으로 상층 기단의 각면에는 우주와

한 개의 탱주가 새겨져 있습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1개의 돌로 조성되었는데 1

몸돌의 정면에는 문비와 자물통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습니다

 

 

 

두암리 삼층석탑의 상륜부는 노반과 복발이

남아 있지만 그 위의 부재는 없습니다

 

 

 

2층 기단에 3층 탑신이라는 통일신라의 기본양식을 따르면서도

기단부와 탑신부의 짜임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이 탑은 상륜부를 제외하고는 재 짝을 갖추고 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이층 기단위에 세운 일반형

석탑으로 높이는 335cm입니다

 

 

 

두암리 삼층석탑의 지대석 위에는 수 많은 원공들이 파져 있는데 

성혈을 새겨 놓은 듯 정성드려 파 놓았습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포대를 찾아서  (0) 2011.11.17
방해정을 찾아서  (0) 2011.11.17
해운정을 찾아서   (0) 2011.11.16
죽서루를 찾아서  (0) 2011.11.16
원주 법천사지를 찾아서   (0) 2011.1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