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립박물관을 찾아서
강릉
시립박물관은
오죽헌과 담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역사문화관. 향토민속관,
야외 전시장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영동 지방에서 사용
하던 생업도구와 의식주 관련
용품. 그리고 강릉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을 주로 전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강릉시립박물관은
1998년 1월에 오죽헌과 통합
하여 개관하였다고 합니다
오죽헌에 있는 강릉시립박물관 입구입니다
담장을 하나 사이에 두고 있어서시립박물관을 관람하기에는
아주 편리하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강릉시립박물관 입구입니다 1998년 1월에 강릉시립박물관과
오죽헌이 통합되어 새롭게 태어났다고 합니다
강릉시립박물관 현판입니다
이 무덤은 독널무덤으로 독을 두개 맞붙여서 관으로 사용하던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독널을 사용하였다고 하며
이 독널은 강릉시 초당동에서 발굴된 것이라고 합니다
굴산사지에서 발굴된 굴산사 명문기와입니다
도깨비눈무늬 암막새와 명문기와들입니다
목련존자도는 부처님의 10대 제자중 두번째로 승려가 되어 신통력을 얻자
생전에 죄를 많이 지은 어머님이 아귀지옥에서 많은 고통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부처님께 어머니를 구해 줄 것을 청원하고 7월15일
우란분절에 대중에게 공양하고 어머니를 도리천궁으로
다시 테어나게 하였다는 분입니다
황승규모불화라고 하며 불교와 무교의 승합을 보여주는 불화입니다
중심에 아미타불이 계시고 그 옆에는 협시보살을 비롯하여 산신, 삼불제석,
용왕신, 장군, 칠성, 용장군 등의 무신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강원도 지방의 근대서예가이신 석강 황승규라는 분이
그린 그림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한송사지 석불좌상으로 한송사가 폐사 된 후 1992년에 보물로 지정
되면서 강릉시립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고 합니다
머리와 오른 팔이 없어진 불완전한 보살상이지만 입체감이 풍부하고
활달한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희귀한 작품입니다
앉은 자세는 왼 다리가 안으로 들어가고 오른 다리를 밖으로 내어
발을 그냥 바닥에 놓고 있으며 이러한 자세는 보살상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아마 어느 본존불을 모시던 협시보살
이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흰 대리석으로 만든 한송사지석불좌상으로 원래 한송사지에 있던
것을 1912년 일본인들이 일본으로 반출하였다가 1966년 한일협정
으로 반환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가 2002년
춘천박물관의 개관 기념으로 이전 전시되고 있으며
이 작품은 실물이 아니라고 합니다
머리부분은 잘려진부분을 붙인 흔적과 이마 부분의 백호가
떨어져 나가면서 생긴 파손부분이 남아 있으나 그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고려초기인 10세기 초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안성이씨 영동종친회에서 기증한 물들이며
안성이씨 선영을 이장하면서 출토된 것들을 포함하여
많은 유물들을 기증하였다고 합니다
이수혼의 처
강릉최씨의 묘지에서 발굴된 묘지입니다
판석에 해서로 음각된 지석 2기와 도판묘지 1기,
유리구슬 68과,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수징의 처 강릉 최씨 묘에서 출토된 원형구슬과 꽃무늬
구슬로 망자가 생전에 목걸이나 염주로 사용하던 것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김진석묘지로 영해부사 김진석의 묘지입니다
1526년 용궁현감을 지낸 박수량이라는 분이 썼으며 분청사기로
제작된 묘지는 우리나라 묘지 및 도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합니다
이수징지석으로 훈도공 이수징의 부친은 성균생원
석진이며 조부는 훈련판관 득원이라고 합니다
예쁘게 수 놓아진 방석입니다
피곤한 몸이 앉아 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입구에 우산 꽂이가 있는데도 저는 혹시나 저의 우산을 잊어버릴까 봐
물이 흐르는 그 우산을 품에 끼고 다니면서 사진을 찍느라고
많은 괴로움을 느꼈는데 생각하면 부끄럽습니다
장애인 안내 표지판이 한 눈에 보일 수 있도록
선명하게 잘 표지되어 있습니다
입구에 우산을 준비해 둔 자상함을 빼고 라도
이 것 하나 만으로도 강릉은 문화관광의
선진도시가 되기에 충분합니다
제 24회 서울올림픽 성화 안치기념비라고 합니다
오죽헌과 시립박물관 안내 표지판입니다
청풍당소공원은 어디인지
가 보지 못하고 그냥 돌아왔습니다
많은 우산을 준비해 놓으신 강릉시 관계관 여러분께 감사드리고
친절하게 대해 주신 강릉시민 여러분께도 감사들며
이 곳까지 함께 해 주신 님께 감사 드립니다
'팔도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곡기념관을 찾아서 (0) | 2011.10.19 |
---|---|
오죽헌을 찾아서 (0) | 2011.10.19 |
굴산사지를 찾아서 (0) | 2011.10.19 |
제천 두학동 석조여래입상을 찾아서 (0) | 2011.10.17 |
율곡사를 찾아서 (0) | 2011.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