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안 이야기

족보에 대하여

by 고우니 ; 송강(松岡) 최재모 2014. 10. 3.

 

족보에 대하여

 

 

 

 

Ⅰ. 족보의 기원

 

족보(族譜)는 다른 말로 보첩(譜牒)이라고도 하며 그 효시는 중국의 6조(六朝) 시대에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이 처음이며 우리나라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18대왕 의종(毅宗)때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족보의 형태를 갖춘것은 조선 성종(成宗)때(1476) 부터이며, 이때 안동권씨 성화보 (安東權氏成化譜)가 처음 발간 되었다.

혈족(血族) 전부를 망라한 족보는 조선 명종(明宗)때 편찬된 문화유씨보(文化柳氏譜)로 알려졌으며 지금까지 전해온다.

 

 

 

1. 족보의 종류

 

1) 대동보(大同譜)

같은 시조(始祖)아래 중시조 마다 각각 다른 본관(本貫)을 가지고 있는 씨족간에 종합 편찬된 족보이다. 다시말해서 본관은 서로 다르지만, 시조가 같은 여러 종족이 함께 통합해서 편찬한 보책을 말한다.

 

2) 족보(族譜)

관향(貫鄕)을 단위로 하여 같은 씨족의 세계(世系)를 수록한 보첩으로, 한 가문의 역사를 표시하고 한 씨족의 계통도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보첩이다.

 

 

3) 세보(世譜)

두 개파 이상의 종파가 합하여 합보로 편찬한 보첩이다.

 

4) 파보(派譜)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한 파(派)만의 계보와 사적(事蹟)을 기록하여 편찬한 보첩

 

5) 가승보(家乘譜)

본인을 중심으로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의 직계존속(直系尊屬 : 자기의 윗대)과, 비속(卑屬 : 자기의 아랫대)에 이르기까지 이름자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으로 보첩편찬의 기본이 되는 문헌이다.

 

 

6) 계보(系譜)

한 가문의 혈통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름을 계통적으로 나타내는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가 수록되었거나 어느 한 부분이 수록된 것이다.

 

7) 가첩(家牒)

편찬된 내용이나 표현이 아니라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모든 보첩을 말한다

 

8) 만성보(萬姓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 내어 집성(集成)한 책으로 족보의 사전(辭典) 구실을 하는 것이다.

 

 

 

2. 족보 용어

 

1) 시조(始祖)

제일 처음의 선조로서 첫 번째 조상

 

2) 비조(鼻祖)

비조는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 중 가장 높은 사람을 말한다.

 

3) 중시조(中始祖)

시조 이하에서,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으로서, 모든 종중(宗中)의 공론에 따라 추대된 조상

 

 

4) 세(世)와대(代)

시조를 1세(世)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代)로 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대(代)라 한다.

 

5) 자(字)와 호(號)

지금은 이름을 하나로 부르지만 옛날에는 여러 가지로 불렀는데, 어렸을 때 부르는 이름을 아명(兒名)이라 하고, 20세가 되어 성인이 되면 다시 관명(자)을 지어주었다. 호(號)는 낮은 사람이나 또는 허물없이 부르기 위하여 별도로 지어 불렀다

 

 

 

 

6) 함(銜)과 휘(諱)

살아 계신 분의 이름을 높여서 부를 때 함자(銜字) 라고 하며 극존칭으로서 존함이라고 한다.

그리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고 하며, 여기에는 이름자 사이에 자(字)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 뜻을 풀어서 말하는 것이 예의이다

 

7) 항렬(行列)

항렬이란 같은 혈족사이에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의 법이며, 항렬자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항렬은 가문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게 적용하나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한다.

 

※ 십간(十干) 순으로 쓰는 경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십이지(十二支)순으로 쓰는 경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으로 쓰는 경우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변을 사용하여 순서적으로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Ⅱ. 삼 강(三 綱) 오 륜(五 倫)

 

삼강오륜은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으로.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삼강오륜을 논하는 것이냐 하며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늘어놓는 야’ 라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한편 삼강오륜을 알고는 있지만 그것이 이 시대에 꼭 필요하냐고 반문하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또 한편 “그런 필자는 그거 다 지켜가면서 사냐”며 말만, 글만 뻔지르르한 위선자 취급을 받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얼마나 각박하고 험해졌습니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사건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해 삼강오륜의 의미를 무색케 할 정도입니다. 물론 이에 못지 않게 미덕을 베풀며 삼강오륜 그 이상으로 사람사이의 도리를 지켜가며 사는 사람들도 많겠지요.

 

우선 그렇지 못한 부분을 살펴본다는 얘깁니다. 그렇다고 필자가 부정적이고 사회적 병폐만 들춰내 이 글의 논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삼강오륜을 몰라서 반인륜적인 범행을 저지르겠습니까? “

도덕이, 예절범절이 땅에 떨어진 빌어먹을 세상”이라고 한탄하며 반인륜적인 것들을 그냥 인정하시겠습니까? 그것은 절대로 아닐 것입니다. “ 이건 아닌데…”라고 생각되는 행동을 취하기 전에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삼강오륜을 “머릿 속에 외우고 다니며 이를 실천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결코 도덕 교과서처럼 살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예로부터 그러한 덕목이 강조돼왔고 왜 그것이 중요하며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왜 필요한지를 한번쯤 생각해보자는 것입니다.

 

 

 

 

三 綱 (삼 강)

 

父 爲 子 綱 (부 위 자 강)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 爲 臣 綱 (군 위 신 강)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 爲 婦 綱 (부 위 부 강)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五 倫 (오 륜)

君 臣 有 義 (군 신 유 의)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 子 有 親 (부 자 유 친)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 婦 有 別 (부 부 유 별)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 幼 有 序 (장 유 유 서) -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 友 有 信 (붕 우 유 신)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작은 실천 하나를 해봅시다.

 

오늘 하루도 직장에서 사업장에서 씨름(?)하느라 고생 많으셨죠.

날도 더운데 많이 피곤하시죠?

시원한 샤워 후 곧장 자신만의 침대로 들어가신다고요?

 

잠깐! 부모님방을 둘러보세요.

부모님의 이부자리를 곱게 깔아드리세요.

 

시간도 얼마 안 걸리고 그리 힘드는 일도 아닙니다.

“편히 주무세요”라는 인사와 함께

부모님 방에서 뒷걸음으로 나와 보세요.

뒷걸음 하면서 부모님의 얼굴을 다시 한번 뵙고 나오라는 말씀입니다

 

(좋은 글이라 집안교육을 위하여 옮겨왔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