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도문화재답사

[스크랩] 절(사찰) 앞에 왜 하마비(下馬碑)가 있을까?

by 고우니 ; 송강(松岡) 최재모 2014. 11. 4.

<!-by_daum-> 

(사찰) 앞에 왜 하마비(下馬碑)가 있을까? 

- 경주지역의 하마비 -

 

 

 

고성 옥천사의 하마비(下馬碑)

 

 

양산 통도사의 하마비

 

한국에는 수많은 사찰이 있다. 사찰은 기도와 수행을 위한 종교적인 공간이었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기도와 수련만 하는 곳이 아니고 다른 의미로 변질되는 경우도 있었다.

 

숭유억불 정책을 썼던 조선시대에는 왕의 명복을 비는 능침사찰로 이용되기도 하였고 주변의 산성 축조와 보수에 스님들이 동원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역참(驛站) 기능을 담당하는 절도 있었는데 절 원()’자를 사용한 충북 충주 미륵대원, 경북 안동 제비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렇게 사찰은 종교적인 수행도량외에 비보사찰, 역참사찰, 능침사찰 등 다양했던 사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예전에 세워진 사찰의 일주문이나 천왕문 앞에서 종종 하마비(下馬碑)를 만날 수 있다

이 하마비가 부처님이 계시는 신성한 곳이므로 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의미로 세워두었을까? 하는 데는 의문이 있다

불교적인 입장에서 보면, 말에서 내리듯이 우리들이 짊어지고 있는 온갖 욕심을 버리고, 텅 빈 마음으로 절로 들어가라는 의미라고 부여하고 싶지만 실상 하마비가 세워진 이유에는 믿음에 대한 존경의 의미보다는 다른 까닭이 있기 때문이다.

 

 

태종 13(1413)에 최초로 종묘와 대궐문 앞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표목(標木)을 세웠는데 이것이 하마비의 기원으로, 하마비가 세워진 입구부터는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려 걸어서 들어가야 하는데 말에서 내릴 때마다 고개를 숙이며 자연스럽게 경의를 표시하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이다.

 

태종실록에는 말에서 내리는 거리가 나와 있다. 1품 이하는 10보(步) 거리에서, 3품 이하는 20보 거리에서, 7품 이하는 30보 거리에서 말을 내려야 한다. 1품은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도제조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 등이다. 고위관료는 5~7m, 중간관리는 10~15m, 하급관리는 20m 앞에서 예의를 차려야 했다.

그런데 하마비 앞에서 모든 이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종묘, 궁가, 문묘에는 말을 타고 입장할 수 없다. 그러나 동헌의 경우에는 달랐다. 고을 수령보다 높은 벼슬아치는 말에서 내리지 않았다.

 

 

 

  덕수궁의 하마비                                                          종묘의 하마비

 

 

하마비에는 '하마비' 또는 '대소관리과차개하마(大小官吏過此下馬)'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상하를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라라는 글을 적혀 있었다. 처음에는 나무로 세워두었으나 나중에 돌로 새기게 되었다

 

이런 하마비가 놓이는 곳은 궁궐, 문묘, 종묘, 왕의 태실지, 어전(御典-왕의 영정이 있는 곳)향교, 서원, 영성(營城-병영및 관아가 있는 곳)이었으나 나중에는 사찰 앞에도 세워지게 되었다.

 

 

 

부산 동래 범어사의 하마비

 

 

이렇게 사찰 앞에 하마비가 세워진 것에는 조선시대의 불교 탄압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숭유억불의 시대속에서도 조선불교의 중흥을 위하여 애쓰고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던 문정왕후의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비록 유교의 나라 조선이었지만 왕실과 백성들은 음지에서 암암리에 불교를 믿는 자가 많았다. 특히 왕비를 비롯한 왕실 여성들에게서는 독실한 불교신자가 많았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천년을 이어온 불교 신앙이 어찌 금방 없어지겠는가?

 

조선 제11대 중종의 계비(繼妃)이며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 역시 독실한 불교신자였다.

남자들은 유교와 성리학에 매달렸지만 조선의 여성들은 기복 신앙화가 된 부처님 섬김을 쉽사리 놓을 수가 없었다. 문정왕후는 집권하자마자 막강한 권력의 힘으로 조선의 불교를 음지에서 양지로 끌어내 보우(普雨)라는 걸출한 승려를 봉은사 주지로 삼고 본격적으로 불교 중흥을 꽤한다.

 

 

 

문정왕후의 묘-태릉

 

 

▶ 문정왕후는 누구인가?

 

남편 중종이 죽고, 인종마저 죽어 자신의 소생 경원대군(명종)12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수렴청정으로 조정의 실권을 장악, 그로부터 무려 20여 년 간이나 국정을 이어나간 조선의 측천무후가 아니던가?

 

문정왕후는 그동안 폐지 됐던 승과(僧科)를 부활시키고, 봉은사(奉恩寺)에 선종을, 봉선사에 교종을 두게 하여 선·교 양종을 부활시켰다.

한편 전국의 300여 사찰을 국가공인 사찰로 부활시키고, 승려가 출가했을 때 국가가 허가증을 발급하여 신분을 공인해 주는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시행하여 2년 여 년 동안 5000여 명의 승려를 뽑는 한편, 폐지 됐던 승과시를 부활시켜 훌륭한 승려를 배출했는데 그 대표적 역사적 인물이 바로 휴정(休靜)서산(西山)대사 이고, 유정(惟政)사명(泗溟)대사이다.

이때의 승려들은 명종 이 후 선조 대에 발발한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으로서 위기의 나라를 구하는 주체가 되었던 승려들이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정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조선 유생들이 사찰에서 벌인 횡포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였다. 유람을 할 때 승려들을 불러 말을 끌게 하는가 하면 사찰에서 기생을 끼고 노는 일도 다반사였다.

그러다가 어느 날 왕의 능을 지키는 능침사찰인 정인사(正因寺)와 회암사(檜巖寺)에서 유생들이 기물을 부수고 사찰의 보물을 훔치는 훼불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문정왕후는 대노하여 선교 양종의 수사찰(首寺刹)이었던 봉은사와 봉선사에는 아예 유생의 출입을 금지해 버리고 난동을 벌인 주모자를 모두 투옥시켜 버렸다. 

이에 유생들의 반발은 거셌다. 당시 문정왕후를 옆에서 보좌하던 보우(普雨, 1515~1565) 대사의 목을 베야 한다고 상소가 올라갔지만 상소문을 본 문정왕후는 더욱 불같이 화를 낸다. 격노한 문정왕후는 전국의 큰 사찰과 능침사찰 입구에 다수의 하마비를 세우도록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하마비는 사찰로까지 들어오게 된 것이다.

 

하마비가 있는 사찰은 유생들의 폭악에서 어느 정도 피해갈 수 있었다. 심지어는 부역에서 면제될 수 있었고 각종 공출에서도 부담을 들 수 있었다. 이렇게 하마비의 위력에 매력을 느낀 일반사찰에서는 하마비를 유치하기에 애를 쓴다. 

임금이 쓴 편액을 하사받거나 임금의 간찰을 받으면 이를 빌미로 하마비(下馬碑)를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하마비의 앞이나 뒤쪽을 보면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대소인(大小人)'이란 당하관인 종3품 이하의 관원을 뜻한다. 또한 '()'이란 당상관을 말하며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을 말하는 것이다. '()''모두 다'라는 뜻이니 결국은 누구를 막론하고 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뜻이다.

 

대구 감영에 있는 하마비에는 '절도사이하개하마(節度使以下皆下馬)'라고 적혀 있어 '절도사 이하는 모두 내려라'라는 뜻이며 어떤 곳에는 '토포사이하개하마(討捕使以下皆下馬)'라고 적혀 있는데 토포사이하는 모두 내리라는 말인데 토포사(討捕使)는 현재 형사반장쯤으로 보면 된다

 

현재 순천 선암사, 송광사, 양산 통도사, 부산 범어사, 대구 파계사 등 여러 사찰의 입구에서 에서 하마비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요즈음 일반 신도들이나 관람객들은 주차장에서 내려 절까지 산길을 걸어 가는데, 먼지를 펄펄 날리며 사찰 안으로 서슴없이 드나드는 스님들의 차량이나 목에 힘 준 일부 고급신도들의 차량을 보면서 차()는 말()이 아니지 하고 스스로 위로할 때가 많다.

 

 

 

 

서원 앞의 하마비                                                 향교 앞의 하마비

 

 

하마평이란 말의 어원

 

요즘 공직에 임명될 후보자에 관하여 민간에 떠돌아 다니는 풍설(風說), 즉 세간에서 취임, 이동, 임명 등 인사에 대해 들리는 소문을 하마평(下馬評)이라고 한다. 

하마평이란 말도 바로 하마비에서 유래되었다

 

하마비 앞에서는 모두가 내려야 하므로 관리들이 말에서 내려 걸어서 들어가고 나면, 하마비 부근은 관리들이 타고 온 말과 마부, 그리고 시중들이 대기하는 장소였다. 이들은 주인이 돌아오기까지 마부들은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 그들이 모시는 상전이나 주인 등의 인사이동, 진급 등에 관한 이야기가 오고 갔기 때문에 많은 소문들이 나기 마련인데 이렇게 마부들이나 가마꾼들 사이에 떠도는 풍설을 '하마평(下馬評)'이라고 한다.

 

 

하마대

 

어떤 곳에서는 하마대 (下馬臺)라고 적힌 네모난 돌을 볼 수가 있는데 이는 말을 타고 오르내리기 쉽도록 만든 받침대를 말한다

 

 

 

우리 경주지역에서 하마비(下馬碑)를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

 

1. 석탈해왕 탄강유허비 옆

2. 오릉이 있는 숭덕전 입구

3. 김유신묘 주차장에서 숭무전 들어가는 입구

4. 집경전지가 있는 옛날 경주여중()정원

5. 서악서원 입구 (옛날 경주초등 정문 앞 - 현재 경주농기구임대사업소 정문 옆)

6. 강동면의 동강서원 앞

7. 숭혜전 뒷쪽 길가(원래 계림숲 안에 있었음).

8. 옥산서원 인근(서원입구에서 세심마을로 가다 왼쪽 논 건너편 산위) 등지에 있다

 

 

 

 

 

양남면 석탈해왕 탄강 유허지의 하마비

 

 

 

 

 

오릉 숭덕전 앞의 하마비

 

 

 

 

 

김유신장군묘 숭신전 입구의 하마비

 

 

 

 

 

집경전지의 하마비(옛 경주여중 자리)

집경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영전을 봉안했던 곳이다.

태조 7년 설장수(偰長壽)에 의해 처음으로 봉안되어 영전(影殿)으로 불려졌으나

세종 24년에 집경전(集慶殿)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걍릉으로 이안(移安)하였하고 그 자리는 방치되었는데

정조임금이 1798년, 집경전을 기념하기 위하여 '집경전구기(集慶殿舊基)라는 어필(御筆)의 비와 비각을 세우고 담장을 두른 후 삼문을 설치하였다.

그후 비각은 실화로 소실되고 비석과 하마비 초석 등이 남아있다

  

 

 

 

 

옛 경주초등학교 정문 앞의 서악서원 하마비

 

 

 

경북 경주시 대릉원 옆 숭혜전 입구의 하마비(下馬碑)

비문 아래 부분이 부러진 상태로 기단석과 함께 묻혀 시멘트로 고정되어 있다(2014년 4월)

 

 

사라지고 없는 숭혜전의 하마비(2014년 10월)

  

  (※ 위의 숭혜전 하마비 사진은 경주신문에서 가지고 왔습니다)

 

   

 

출처 : 토함산솔이파리
글쓴이 : 솔뫼 원글보기
메모 :

 

</!-by_daum->

댓글